-
-
토요타 EV 전쟁 - 세계 1위 토요타, 전기차 전략의 위기와 도전
나카니시 다카키 지음, 정문주 옮김 / 시크릿하우스 / 2024년 7월
평점 :
"전기차라는 제품은 미완성이고, 여명기에 있으며, 비연속적인 혁신으로 나날이 진화하는 생물이다. 이 진화를 선점할 수 있어야 시장을 지배할 수 있다." 347
1908년 포드의 모델T가 대량 생산되면서 마차를 타던 시대가 자동차 시대로 변화되었다. 이와 유사한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 전기차의 출현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전세계적인 탄소배출 규제(ZEV: Zero Emission Vehicle)는 신차 판매의 일정량을 전기차와 같은 온실가스 무배출 차량으로 채워야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크레디트를 사거나 벌금을 내야한다.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업체가 아닌 테슬라가 선도하는 전기차 시장은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 1위 자동차 판매업체인 토요타가 전기차 시장에서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이며, 현재의 기술정도와 미래 가능성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미래의 자동차는 디지털 혁명을 의미하는 CASE(Connected, Autonomous, Shared& service, Electric)라고 말할 수 있다. CASE는 양방향연결성, 자율주행, 차량공유와 서비스, 완전 전동화를 통해 기존의 엔진차와는 완전히 차별적인 디지털화, 지능화, 전동화할 것이다. 마차에서 자동차로 넘어가는 시대만큼 혁명적이다.
토요타가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는 것은 신중론 때문이다. 점진적 진화를 주장하는 토요타는 다양한 라인업인 엔진,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탄소 리사이클, 수소, 전기차를 골고루 공급하면서, 점진적으로 전기차의 비중을 늘려간다는 전략이다. 이러한 멀티 패스웨이(전방위) 전략에 자신감을 갖고 있고, 마음만 먹으면 맹활약할 수 있을것이라 자신한다. 그 결과 2022년 시장에 내놓은 전기차 bZ4X는 리콜을 맞는다.
2023년 취임한지 얼마 안된 사토 고지 사장은 새 체제를 구성한다. 전기차 부분을 독립시켜 가토 다케로가 리더로서 개발, 생산, 사업을 포괄하도록 한다. 타부서의 협력을 구하면서 전기차 개발 진행이 느려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가토는 BYD에서 전기차 생산을 경험한 인물이다. 거대한 조직의 단점을 스피디한 조직의 강점으로 분리시킨 것은 바람직해보인다. 그러나 이 조직의 변혁이 보수적 그룹의 저항을 이겨낼 수 있을지, 자체 제조 배터리 5종을 합리적인 가격에 양산하는 것이 쉬운 일인지, 저가경쟁을 하고 있는 테슬라와 BYD의 경쟁에 내놓을 모델이 경쟁력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저자의 전기차 경쟁업체의 분석이 흥미롭다. GM, 폭스바겐, 현대, BYD, 테슬라는 속도감과 추진력으로 단순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혁신적인 전기차 회사로 변화를 보여준다. 특히 테슬라는 자동차 제조보다 자율주행과 데이터를 이용한 수익창출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 일론 머스크가 벌이는 사업은 전기차 생산 하나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차의 저가 공급,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 남는 전기를 가정용 축전지에 저장하는 일련의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저자는 중간중간 자신의 의견을 밝힌다. 토요타가 발표한 2026년까지 전기차 150만 대의 판매 목표가 다소 비현실적이라든가, 2027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실용화하겠다는 계획은 부풀려진 느낌이라든가말이다. 전기차 판매수 증가와 강력한 경쟁력 없이는 시장을 장악하기 어렵다. 수출국인 일본은 선진국의 강력한 환경규제에 대응한 전기차로 전환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미래의 전기차 시장에서 낙오할 것이라고 단정한다.
같은 자동차 수출국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어떤지 궁금해진다. 전기차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핵심부품인 2차전지와 고성능 컴퓨터를 위한 반도체, OTA를 위한 5G통신까지 잘 갖춘 우리나라의 미래는 어떤지 궁금해진다. 현대기아차가 전기차시장에 참여하고 있지만 주도적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 속도가 느려지고 있고, 가장 큰 시장인 중국과 미국의 변수가 있다. 중국은 경제가 회복되지 않고 있고, 미국은 올 해 대선에서 트럼프가 승리한다면 전기차 보조금이 사라지면 전기차 구매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하이브리드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수익을 창출하고 거액의 비용이 드는 전기차 개발을 병행하는 토요타의 전략이 옳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분석적인 내용도 알차지만 어려운 용어를 쉽게 풀어 설명하고 반복하고 예를 들어 주어서 읽으며 배워나갈 수 있어 유익하다. 세계 전기차 시장의 현황과 미래, 토요타의 상황과 전략에 관심이 있다면 일독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