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기자의 글쓰기 수업 - <씨네21> 주성철 기자의 영화 글쓰기 특강
주성철 지음 / 메이트북스 / 2018년 12월
평점 :
'방구석 1열'이라는 프로그램을 간혹 보는데, 최근 '장국영' 특집편에서 장국영과 홍콩영화를 매우 사랑하는 영화기자 주성철이 나왔는데 그가 이 책의 저자다. 현재 <씨네 21> 편집장으로 영화기자로서 20년을 지내온 전문가다.
저자에 의하면, 영화평론가와 영화기자의 차이는 영화평론가는 프리랜서로서 자기가 쓰고 싶은 것만 쓰면 되지만, 영화기자는 직장인처럼 출근을 하며 매주 일정 분량을 써야하는 사람이란다. 영화기자인 자신의 입장에서 영화평론가에 대한 약간의 부러움이 묻어나는 듯 하지만, 영화인들과 촬영장에서 같이 호흡을 같이 하며 지낸 시절을 회상하는 내용을 보면 고생스러웠지만, 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귀한 시간이어서 자신의 일을 소중하게 여기는 느낌이다.
서문에서 글쓰기에 대한 책이 범할 수 있는 '뜬구름 잡는' 책이기를 거부하였듯이 이 책은 영화 전반에 관한 이야기와 직업으로서 영화기자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영화 글쓰기와 인터뷰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꼼꼼하게 제시한다.
구성은 4부로 되어 있는데, 먼저 영화기자라는 직업에 대해, 영화에 관한 글을 쓰기 전과 글 쓸 때 필요한 것들에 대해, 그리고 감독이나 배우를 인터뷰할 때의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각 파트에서 전반에 방법론을 제시하고 후반에 자신이 쓴 글을 함께 올려서 이론과 실재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한 점이 매우 유익하다.
무엇보다 흥미로운 것은 영화기자가 되려면, 최소 세계 명화 100편(1위가 시민케인)을 보고, 영화사조에 대한 공부도 하고, 현대 감독들에 대한 필모그라피도 꿰고 있어야한다는 조언이 매우 구체적이다. 열정이 필요한 직업이다. 영화비평이란 감독에 대한 정신 분석이므로 그의 모든 작품에 대한 연결이 머릿속에서 이루어져야할 뿐 아니라, 어떤 영향을 받은 것인지, 한핏줄영화들은 어떤 것인지도 다 알고 써야하므로 많은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영감에 의해 쓰기보다 구체적인 정보와 자료를 바탕으로 독자의 관심사를 만족시켜야하는 글쓰기를 지향한다.
저자가 자주 언급하는 글쓰기 책으로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조지 오웰의 <나는 왜 쓰는가>,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는 한번 찾아 읽어봐야할 리스트에 적어 두었다. 또한, 박찬욱, 봉준호를 이을 나홍진 감독의 세편의 영화 <추격자>, <황해>, <곡성>을 모두 보지 못했는데 찾아 보고 싶게 한다.
영화기자가 되려는 사람들을 위한 글쓰기와 인터뷰 요령에 관한 방법론적인 설명부터, 그저 영화가 좋아서 그 세계에 대한 궁금증 때문에 영화관련 책을 찾아 읽는 일반인 모두가 읽기에 성실한 책이라 관심있다면, 일독할 만한 좋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