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도주 투자 수익의 정석 - 20년간 연간손실 0원, 국가대표 프랍 트레이더의 완벽한 ‘손익비’ 전략
김진 지음 / 체인지업 / 2025년 7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주도주는 시장이 좋을 때만 존재하는 주식입니다(117)."
저자는 21년간 금융자산을 운용하는 '프랍 트레이더'로 활동하면서 연평균 15%의 수익을 꾸준히 올렸다. 위험한 주식시장에서 오래 활동할 수 있었던 비결은 손실을 줄이고 이익을 꾸준히 내는 '추세추종 전략'이다. 추세란 방향이고 주도주가 이끈다.
저자의 투자 원칙은 '효율적 시장가설'을 바탕으로, "나는 시장의 판단을 이길 수 없으므로, 전망하지 않고 대응한다"는 태도이다. 시장이 좋을 때 시장을 지배하는 대형 주도주를 매수하여 유지하다가 상승추세가 꺽이면 매도한다. 횡보나 하락하는 주식은 관심두지 않는다. 투자의 위험은 내가 틀리는 것이고, 최악으로만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더 오를 수 있는데 미리 팔아서 기회비용을 놓치는 것보다 상승세가 종료되었는데 보유해서 손실을 입는 것이 더 나쁘다.
시장을 알기 위해 매일 시황을 공부하고 적는다. 경제 애널리스트들이 말하는 저평가, 고평가된 주식이나 일반적으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상식을 뒤엎는다. 이는 예측하는 것이고 예측이 맞기란 사실상 어렵다. 시장이 움직이는 대로 대응할 뿐이다. 어떠한 기업이 상승의 기세에 올라탔다면 이미 오른 가격에도 매수할 수 있고, 상승의 기세가 끝났다면 매도한다.
탑다운 방식이다. 시장이 활황인지, 어느 산업이 주도하고 있는지, 어느 기업이 지배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면서 주도주 종목군을 매수한다. 적당한 수익을 내고, 나머지 국면에서 철저한 손실관리를 한다. 중소형주를 저가에 사서 고가에 파는 고수익 투자 방식이 아니다. 위험을 줄이면서 일정 수익을 내는 비교적 안전한 투자방식이다. 같은 산업의 주도주에서도 변동성이 덜한 것의 비중을 높인다. AI시대 주도주인 팔란티어,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중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중을 높게 가져가는 것이다.
매도시점을 결정하는데 저자는 완벽한 변곡점의 판단기준은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4개의 변곡점을 유념한다. 추세가 변하는 sell sign(강한매도신호), short cover sign(하락추세종료변곡점-청산신호)과 새로운 추세를 형성하는 long sign(상승추세전환사인,매수신호,), short sign(대차매도신호)이다. 기존 추세보다 가파른 각도가 나오면 변곡점으로 보고, 그렇지 않으면 지속으로 본다. 강한매도신호에 차트가 가파르게 하락하면 순차적으로 매도하고, 매수신호 역시 주가의 기울기가 가팔라지면 확신을 갖고 매수한다. 상승 주식에 불타기는 되지만, 하락주식에 물타기는 하지 않는다. 추세가 끝나면 다시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저자의 주도주 투자에 대한 다양한 실례를 기대했기에 조금은 아쉽다. 저자가 20여 년 현업에서 성공적인 투자를 했다고 강조했기 때문에 과거 어떤 상황에서 어떤 주도주를 언제 매수해서 얼마나 가지고 있었으며 어떻게 끝을 맺고, 다시 새로운 주도주를 어떻게 발견해서 보유했는지에 관한 일련의 흐름을 설명해 주었다면 좋았겠다. 또한, 기술적 분석으로 추세를 이해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결국 매수 매도 시점은 차트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저자도 상승추세, 하락추세, 비추세를 설명하면서 아리스타네트워크, LG화학, 한전의 그래프를 사용하고 있다.
어느 정도 투자 경험이 있다면 기존의 투자상식과는 살짝 다른 투자 방식을 습득해볼 수 있겠다. 매매빈도가 낮으면서도 위험관리와 꾸준한 수익창출을 기대한다면 일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