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미래 - 거대한 변곡점, 마지막 부의 기회를 잡아라
박석중 지음 / 페이지2(page2) / 2025년 9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하였습니다.
저자는 신한투자증권 리서치센터와 미래에셋 중국법인을 거쳐 글로벌 전략을 맡아왔다. 거시경제부터 개별 산업과 기업분석까지 정통하다. '삼프로 TV'를 통해 차분하게 자신의 통찰을 설명하는 금융인으로 만나보곤 했다. 지금이 거대한 변곡점의 시기이며 마지막 부의 기회라는 부제가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책은 3부로 되어있다. 1부 미국주도의 세계경제질서의 변화, 2부 골든타임의 문턱에 있는 한국의 미래, 3부 AI 기술혁신을 설명한다.
30년 주기로 변화를 겪는 미국은 변곡점에 제조업 약화, 인플레이션, 국제정세불안과 지정학적 위험, 새로운 기술혁신이 나타난다. 현재가 그렇다. 이러한 변곡점에 있는 트럼프 정부는 새로운 경제질서를 제시하며 주도권을 유지하려한다. 기존 글로벌 공급망을 해체하고, 미국이 제조에 뛰어든다. 중국도 가만히 있지 않는다. 저부가가치의 제조에서 벗어나 미국의 영역으로 확대를 꾀하고 있다. 그 사이에서 중간재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한 한국에게는 위협적인 상황이다.
한국은 과거 일본의 선례를 검토하고, 기업의 혁신을 꾀해야 할 때이다. 일본은 플라자협의 후 좀비기업의 구조조정과 혁신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 잃어버린 30년을 보내야했다. 정부의 재정 확장과 구조개혁, 제조업 고도화에 성공한 아베노믹스는 일본이 장기불황에서 탈출하게 했다. AI가 5차 산업혁명으로 향후 50여년을 지배할 것이다. 우리 기업은 과거에 잘했던 범용산업의 구조조정과 AI 기술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구조개혁이 필요하다. 막대한 자금을 쏟아붓는 미국과 중국처럼 정부주도하에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구조전환이 필요하다. 이재명 정부의 경제정책 아젠다가 AI, 산업혁신, 신재생에너지, 외교/안보, 금융정책에 걸쳐 있으므로, 실행 과정을 지켜볼 일이다.
개인 투자자로서 AI 생태계를 잘 이해하고 투자할 것을 조언한다. 장기파동을 타는 기업은 현재 경제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성장한다.엔비디아,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는 미국 고용지표, 연준 통화정책, 트럼프의 관세 영향을받지 않는다.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현재 AI 주도의 주식시장은 강세장 2년차 후반부이고 향후 2년 이상의 강세장 여력이 남아있을 수 있다. 주도주의 교체가능성을 고려한다. 초기에는 반도체, 전력 등 데이터센터 중심의 종목이 앞으로는 AI보급률이 확대되면 응용, 활용기업들이새로운 수혜주가 될 것이다. 개별기업보다 미국과 중국 지수추종하는 투자와 테마형 ETF로 수익을 극대화할 것을 조언한다.
저자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여러 조언이 의미심장하다. 해외생산기지 구축은 불가피해도 핵심공정과 고도화 설비는 국내에 유치할 수 있어야한다. 부동산에 편중된 가계자산을 금융시장으로 대전환시키려면 부동산 세제 인상보다 금융자산 세제감면이 더 강력한 유인책이다. 놀라운 사실은 서울 부동산보유수익률이 미국국채 장기 수익률과 큰 차이가없으며 주식보다 현저히 낮다는 것이다.
세계 속에서 한국의 위치를 이해하고, 앞으로 정부, 기업, 가계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 일깨워주는 책이다. 미국의 패권 쇠락으로 트럼프가 벌이는 관세정책의 바탕을 이해하고 싶다면, 강력해진 G2 중국이 생각보다 AI 기술혁신에서 어떻게 성공을 거두고 있는지 궁금하다면, 정부차원의 미래산업에 집중할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하다면 필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