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Much Time : Women in Prison (Hardcover)
Jane Evelyn Atwood / Phaidon Inc Ltd / 2000년 3월
평점 :
절판


A4 용지 크기의 흑백 사진집이다. 총페이지는 200여쪽이 약간 안 되며 무광택의 두꺼운 사진용지에 인쇄되어 있다. 감옥이라는 소재가 그렇듯이 그렇게 밝은 면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첫 장면은 수감자들의 팔을 클로즈업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한다. 자해를 해서 마치 빨래판의 주름처럼 칼자국이 나있고 그것을 꿰맨 실밥이 그대로 드러나있다. 그리고 물론 담배로 지진 흔적도 보인다. 팔찌를 끼고 시계를 단 손목과 비교가 되면서 문신 몇조각이 보이고 상대적으로 손톱과 손바닥은 깨끗한 편이다. 수감되는 장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교도소내의 몇 장면을 보여주고는 있는데 그렇게 깊이 들어가지는 못하고 있다. 아무래도 제한된 환경이다보니 어쩔수 없는 선택일 것이다.

한가지 우울한 장면은 교도소 감방이 좌우로 마치 도열하듯이 주욱 늘어서 있고, 태어나지 얼마 안된 꼬마녀석이 그 가운데를 옹기종기 걸어가고 있다. 저 멀리 한 여자의 아주 몸이 보이는데 우측으로 돌아서서 누군가와 얘기를 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사진은 아마도 35mm 렌즈를 쓰지 않았나 싶은데 2페이지에 걸쳐서 인쇄된 장면이다. 제목이 'THIS FOURTEEN-MONTH-OLD BOY SPENT HIS LIFE IN PRISON WITH MOTHER AND HER CELLMATE. MAISON D'ARRET DE FEMMES, "LES BAUMETTES," MARSEILLES, FRANCE, 1991' 이라고 적혀있다. 이제 경우 14개월 밖에 안 된 아기가 그의 첫인생을 감옥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아뭏든 이런식으로 미국과 프랑스의 여성 수감자들을 촬영한 사진집이다. 마지막은 전기의자를 찍은 것으로 마무리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물사진가를 위한 조명
Grey, Christopher 지음 / 해뜸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조명에 대한 이론을 담고 있기는 한데, 조금 부족한 듯 싶다. 조명에 대한 기본기와 개념 정도를 설명하는 것일 뿐 특별한 내용은 없다. 사진은 빛을 다루는 예술이다. 따라서 자연광 뿐만이 아니라 이런 인공적인 조명도 이미지의 품질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나 인물 사진의 경우에는 명부와 음영에 따라서 분위기와 느낌이 확연하게 달라진다. 그러므로 광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스튜디오를 운영하지 않는한 이 책에 나온 장비를 모두 사용해 볼 수는 없겠지만, 알아둬서 나쁠 것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얀이 들려주는 하늘에서 본 지구 이야기 1 얀이 들려주는 시리즈
김외곤 외 글, 박미미 외 그림, 얀 아르튀스-베르트랑 사진 / 황금물결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햐아~ 정말 감탄이 나오는 사진집이다. 아직도 지구 곳곳에는 이렇게 아름다운 풍광이 있으니, 이를 후세에 물려주기 위해서라도 잘 보존해야 할텐데... 원래 이 책은 [하늘에서 본 지구]라는 사진집으로 널리 알려져있는데, 이것을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추서 다이제스트 형식으로 재편집 했다. 이 사진의 원작자는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이라고 하는 사진작가다. 처음에는 도대체 어떻게 찍었을까? 무척이나 궁금했었는데 유네스코의 후원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역시~ 한 개인의 힘으로 만들기에는 현실적으로 너무 많은 제약이 있을수 밖에 없을 것이다. 아뭏든 구입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로 아름다운 풍광을 담고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 노트 - 사진과 삶에 관한 단상
필립 퍼키스 글.사진, 박태희 옮김 / 안목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그 흔하디 흔한 사진 찍는 기술이나 비법 같은 것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사진에 관한 개인적인 철학이라고나 할까? 아니면 관점? 마인드? 등등을 수필처럼 풀어내고 있는 책이다. 제법 긴 글도 있고 아주 짧은 내용도 있다. 가령, 빛을 찍어보기라는 부분에는 [필름 한 통을 빛에 노출시키고 인화를 한다. 하얗게 인화된 사진을 보면 누군가 물을 것이다. "도대체 뭘 찍은 거지?" 그때 이렇게 대답한다. "빛"] ㅎㅎ 하신 사진이라는 어원이 빛을 담아낸다는 뜻이니까 핵심을 간결하게 요약하기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사진의 기본 Basic DSLR Knowhow Book (책 + 별책부록 핸드북)
최재웅 지음 / UCM(유씨엠)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이책은 뭐라고 비유를 해야 할까? 너무 기술적이고 이론적인 부분에 치우친것 같다. 쉬운 예를 들어보자. 보통 사람이 운전을 할때는 자동차의 상세한 구조 같은 것은 몰라도 큰 상관은 없다. 교통신호와 엑셀레이터, 브레이크 등등의 운전기술만 익히면 된다. 물론 알아서 나쁠 것은 없지만 정비를 하지 않는 이상 별로 쓸데가 없을 것이다. 어떤 챕터는 너무 이론적이고 또 어떤 부분은 그냥 매뉴얼 수준이고 그렇다. 전체적인 평가는 그냥 수박 겉핥기 식으로 여러 분야를 훑어보고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