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내 아이만 키우기 어려울까? - 단호하지만 사랑을 놓치지 않는 육아
엄윤희 지음 / 갈대상자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내 아이만 키우기 어려울까

 

나는 사실 아이가 없다. 그래서 아직은 아이육아에 대한 관심이 크지는 않지만 오히려 태어난지 얼마 안된 조카를 보면서 육아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그리고 나는 어떻게 키워야 할까라는 생각들을 가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옆에서 아이가 태어나면서 부터 계속 지켜봐왔지만 정말 키우는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수가 있었다. 거의 성인 여자가 인생의 대부분을 아이에게 바쳐야 하는 수준으로 아이에게만 매달려도 아이키우는게 녹록치 않다고 하였으니 말이다. 그저 옆에서 지켜보기만 하고 가끔 놀아주는 나로써도 육아란 정말 어려운것이라는 것을 너무나 쉽게 알수가 있었는데 직접 본인이 육아를 경험하는 입장들은 오죽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고 그저 밥만 주고 재워주고 기저귀 갈아주는 것만 해주고 나머지는 나몰라라 할수가 없는 노릇이라는걸 잘 알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런것들의 기본적인 것들 외에 진짜 자식을 어떻게 키워야 아이가 좋은 감정을 가지고 건강하게 클수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이 책을 통해서 알수가 있었다. 이 책은 단순히 아이들을 사랑으로만 키우라고 조언하는 그저 그런 책이 아니었다. 단호하지만 사랑을 놓치지 않는 육아를 강조하고 있었다.

 

이 책의 지은이는 10여년간 교사로써 학생들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전문가이지만 육아에서만큼은 교사로써보다 더 어렵다고 하였다. 그렇지만 이 책의 내용들을 읽어보면 그런 생각이 별로 들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지은이의 실제 경험과 빗대어서 잘 이해할수 있게 잘 설명해주고 있으면 다양한 경험들로 얻은 지혜들을 꼼꼼하게 잘 알려주고 있다는 것을 알수가 있었다. 특히나 3장의 좋은 엄마가 되는 데에도 공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에서 저절로 알아 지는 것이 아니라 부모부터 다시 공부를 해야 한다는 조언에 깊이 동감하였다. 많은 부모들이 자신의 감정으로 자신이 키우고 싶은 방향대로 아이들을 키우거나,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크는 부모들이 아직도 많다는 것을 인터넷에서 쉽게 접할수 있다. 그래서 그런가 아이들의 불편한 의사표현을 우는 것으로밖에 못하는 데도 불구하고 운다고 해서 윽박지르거나 폭행을 가하는 경우가 있다. 사실 이런 부모들의 성격도 잘못되었다고 비난받을 만하지만 사실은 자녀에 대한 잘못된 지식이 그런 결과를 만들었다고도 할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엄마의 뜻대로만 살아가는 아이는 행복할수가 없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교대를 다니다가 자퇴한 사연을 이야기 해주면서 자녀의 대학교 입학까지 부모의 의견이 많다는 것을 꼬집고 있다. 사실 그렇다 지은이가 다른 챕터에서도 언급했지만 자녀의 인생을 끝까지 부모가 대신 살아 줄수가 없는 노릇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젠가는 부모의 품을 독립해야 하고 독립하는 시기가 앞당겨질수록 자신의 인생을 자신이 스스로 책임질수 있는 아이로 성장할 가능성은 높아지기 마련이라 생각한다. 무조건 적인 부모의  헌신이 항상 좋은 결과로만 이어지지 않음을 알려주기도 하였다.

 

너무 사랑해서도 않되고 그렇다고 사랑하지 않아서도 않되고 그렇다고 너무 관심가지고 헌신을 해서도 안된다고 하였고, 육아에는 정답이 없다고 지은이는 말했다. 맞다 정답은 없지만 정도는 있으며 도가 지나치면 육아도 마찬가지로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책을 읽는 챕터마다 느껴진것 같았다. 이런 조율이 보통의 부모들은 잘 모른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렇기에 이 책을 통해서 그러한 중심이나 기준을 잘 알수가 있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아이의 기질별, 성격별 맞춤 육아법을 소개하고 있다.

1. 자신감이 없는 아이

2. 산만한 아이

3. 버릇 없는 아이

4. 자기주장이 강한 아이

5. 공부에 흥미가 없는 아이

6. 정리정돈을 못하는 아이

7. 의존성이 강한 아이

8. 발달이 느린 아이

 

이렇게 나뉘어 지며 각 챕터마다 꼼꼼한 설명이 있기 때문에 자기 아이에 맞추어서 혹은 관심있는 부분들을 먼저 읽어도 무방하였다. 이렇듯 이 책을 통해서 다양한 실전 육아 이야기를 읽을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