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력 - 무엇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사이토 다카시 지음, 황선종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력

 

전 사실 독서를 정말 정말 잘하고 싶었어요 책을 구매 혹은 소장하게 되는 시간보다 책을 읽는 시간이 따라가지를 못해서 집에 책장 가득 빼곡하게 끼워져 있는 책중에서 읽지 못한 책들이 아직도 많이 있거든요 그렇다고 책을 너무 대충 훓어보자니 뭔가 지은이의 생각이나 교훈 또는 지식을 제대로 습득하는거 같지 않아서 왠지 대충읽는 것은 내 스타일이 아닌거 같고 그렇다고 책을 꼼꼼히 정독하면서 읽는답시고 제대로 읽을라 치면 책 읽는 속도가 너무나 느려서 세월아 네월아 하기 일쑤여서 책을 어느정도 읽지도 못하고 흐름 뚝뚝 끊기게 읽는 것 때문에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놓칠때가 가끔 있어서 다시 앞쪽을 훓어보고 그러는데 그러다보면 결국 책 한권을 다 읽지 못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그럴때면 정말 독서를 효율적으로 읽고 싶다는 생각을 문득문득 하게 된다. 그래도 다행인것은 요즘은 서평이벤트를 하게 되면서 어쩔수 없이 마감을 지킬려고 책을 빨리 빨리 읽게 되면서 그나마 속도가 붙기는 하였지만 내눈이 그저 글을 훓는건지 정말 책을 읽는건지 순간 깜빡할정도로 요즘은 빠르게 읽어나가곤 할때가 있다. 이것들이 과연 잘 읽는건지 정말 궁금했었다. 이러한 궁금증을 해소해준 책이 이 [독서력]이란 책이었다.

 

지은이에게 책은 읽어도 되고 읽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니라 읽지 않으면 안되는 것으로 규정한다. 그러면서 의식적으로 독서를 해야만 하며 독서를 통해 사고력이 길러졌다고 말하고 있다. 독서는 반드시 살아가면서 필요한것이라 한다. 사실 나도 동의한다. 나 또한 독서를 좋아하며 독서야 말로 내가 다양한 사람들과 생각을 교류 할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한다.

 

어떤이에게 독서의 의미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다양한 경험을 직접한다면 그것이야 말로 진짜 공부라고 하였는데 그럴려면 시간과 직접 장소로 옮겨서 경험을 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경험을 할수 있는 것이 바로 책을 읽는 것이라고 할 정도로 삶의 다양한 경험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만큼 독서가 필요한 것인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들이 들었다. 그렇기에 독서를 제대로 하고 싶었었다.

 

이 책은 총 4가지로 이야기가 나뉘어져 있으며 첫번째 이야기 에서는 독서력이란 무엇이며 독서력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독서력이 단순히 책 몇권 읽고 마는 것이 아닌 독서를 습관화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독서를 함으로써 얻을수 있는 이점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예를 들어 독서를 통해 자아 형성의 방법을 알수가 있다.

세번째 이야기에서는 독서를 통해 익숙해 져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독서는 삶의 여유가 있는 귀부인이 오후에 야외 베란다에 나와서 따뜻한 차한잔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닌 우리가 평소에 틈틈이 남는 시간에 생활속에서 해야 하는 것이 독서임을 일깨워준다고 할수있다.

마지막 네번째 이야기에서는 독서가 지닌 특징이라고 할수도 있고 독서의 역할이라고도 할수가 있는데 책의 장르중에서 꼭 소설같은 류만 지은이와의 친밀감 즉, 대화력이 생기는 것이 아닌 다양한 장르의 독서 자체에서도 대화력이 충분히 생길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도 한다.

 

'자신의 경험과 저자의 경험, 자신의 뇌와 저자의 뇌가 혼재해 있는 듯한 느낌이 바로 독서의 진짜 재미다. 다른 사람과 본질적인 부분을 공유하면서 자신의 일관성을 지니는 것, 이것이 정체성을 형성하는 요령이다.'라고 지은이는 말한다. 나도 전적으로 동감한다. 내가 바라보는 관점과 경험이 정답이 아닌것은 누구나 알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내말이 옳고 다른사람 말이 틀리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럴 경우 다른 사람의 관점과 경험을 알아야 모두를 이해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선 독서가 꼭꼭 필요한것이다라는 것은 절.대. 진리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