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의 나라 조선 - 그 많던 조선의 모자는 왜 그렇게 빨리 사라졌을까?
이승우 지음 / 주류성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자의 나라 조선



모자의 나라 조선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땐 문득 든 생각은.... '맞어 우리 옛날에는 이런 모자들이 박물관에서나 보는 것이 아니라 정말 사람들이 쓰고 다녔던 일상모자였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특별하게 수공예로 제작되어서 전시관이나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는 물건들이 아니라 우리 조상들이 일상에서 늘상 쓰던 모자들이었다. 이 책을 통해서 나는 다시한번 조상들의 전통을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정말 오래전 우리나라에도 신분제 사회가 만연하던 시절에는 신분에 따라서 착용가능한 모자가 다 달랐다. 그래서 모자의 생김새가 곧 부와 명예를 상징하는 역할로써도 임무를 행하였다. 그런 자세한 이야기들이 막연했는데 이 책은 모든 오랜 이야기들을 하나 하나 들려주고 있었다.



개인적으로 수많은 모자중에서도 족두리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족두리는 여성이 착용하는 모자이며 내가 착용해본 적은 없었지만 어릴때부터 알고는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족두리가 영조, 정조 시대때 부녀의 머리 장식으로 이용하던 것이라는 유래를 알게 되니까 왠지 반갑고 신기했다. 내가 태어나기도 한참 전에 있었으니까 말이다.



그리고 이 책은 통해서 또 놀랐던 것은 바로 남자들이 주로 사용했던 '갓'이다. 갓은 막연하게 양반의 갓과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했던 갓 이렇게 크게 두가지 정도만 있는줄 알았는데 갓의 모양도 정말 다양했는데 시대별로 갓의 모양이 변화를 이루었다는 사실은 이 책을 통해서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또한 갓이 패션으로써의 역할도 했다는 사실에 다시한번 놀라게 되었다. 여유가 되는 이들은 갓에서만 끝나지 않는 다는 것도 말이다. 사치를 부리고자 하는 욕망은 현재가 예전이나 전혀 다르지 않구나 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 아쉬웠던 점이라면 바로 실제로 모자 형태는 사진으로 많이 볼 수가 있었는데 사진 기술이 조선 후기에 문호가 개방되면서 부터 여서 옛 조상들이 다양한 모자를 착용한 모습들을 충분히 많이 보지 못한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라면 아쉬운 점이었다. 그나만 고종 황제는 그러한 혜택을 충분히 받아서 그나마 다양한 모자를 착용한 모습을 사진으로 많이 남겨놓아서 이 책을 통해서 감상할 수가 있었다는 것이다.

이 책의 주요 연대기는 조선이다. 조선만으로도 책 한권이 나오는데 고려시대 혹은 삼국시대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그 시절의 우리 조상들은 어떤 모자를 착용하였는지 더욱 궁금해지는 그런 책이었다. 물론 자료들이 충분히 않았으리라 짐작한다. 조선만으로도 실제 착용 사진들이 그리 많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니니까 말이다. 그렇다고 현재의 가치를 무시하고자 함은 전혀 아니다. 그렇지만 과거의 가치가 그만큼 오랜 세월을 지나온 만큼 그 가치는 정말 값을 메길 수가 없을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우리 조상의 모자에 대한 가치를 한층 끌어 올려주는 역할을 충분히 다하였다고 할 수 있는 그런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