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디저트 - 전통과 현대를 품은 트렌디 한식 디저트
정운경.김정희.이수연 지음 / 북앤미디어디엔터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디저트: 전통과 현대를 품은 트렌디 한식 디저트





K-디저트: 전통과 현대를 품은 트렌디 한식 디저트


먹는것에 이렇게 아름다운 책이 있을까 이 책은 나를 위한 책이라고 할 정도로 정말 아름다운 음식들이 가득 들어 있는 책이다. 빵이나 떡을 좋아하는 나에게 더없이 좋은 책이라는 의미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너무나 즐거웠고, 감탄했으니까 말이다. 한식 디저트를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책이다. K- 디저트라고도 불리우는데 전통과 현대적인 한식 디저트 였다. 




이 책은 목차를 빼고는 지나갈 수가 없다. 전체적으로 어떤 음식들이 있는지 훓어보았고, 익숙한 백설기에서 부터 참 특이한 아카시아꽃음료 등 다양한 K- 디저트가 담겨져 있었다. 아무래도 전통 디저트인 만큼 우리의 음식인 떡, 강정, 화채나 차 종류가 참으로 많았다. 그렇다고 전통 떡 만들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과 현대의 퓨전에 맞게 전통적인 재료에 현대적인 음식의 조화도 많이 있었다. 


개인적으로 타르트를 굉장히 좋아하는데 두텁찹쌀타르트라고 찹쌀로 만든 타르트가 있었다. 타르트는 당연히 빵이라는 생각을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이렇듯 음식을 만들기 전부터 눈이 즐거웠다. 




빵의 주 재료는 밀가루이고 밀가루의 종류를 굳이 나누자면, 강력분, 박력분, 중력분 정도이다. 그런데 이 책의 디저트 주 재료는 멥쌀가루, 찹쌀가루, 보리가루, 흑미가루, 차수수가루, 밀가루(3가지), 청포가루, 한천가루 이렇게 많고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아니긴해도 사용되는 도구들의 종류들도 정말 다양했다. 그래서 왠만하면 어쩌다가 디저트를 만들어 먹는 사람보다는 디저트 만드는 것을 좋아하거나 요리사거나 음식에 굉장히 관심이 많은 사람이 읽으면 정말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는 참으로 깜찍한 K-디저트가 많이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크리스마스 도시락 떡케이크는 정말 정말 귀엽다. 마지막 데코레이션을 따라하는 것도 정말 귀엽지만 데코레이션은 자신이 원하는데로 할수도 있다는 이점이 있어서 더욱 좋다. 


대부분의 K-디저트들의 요리과정이 그렇게 복잡하고 엄청 긴 조리과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다만 아무래도 떡이 주로 있다보니 떡을 찌는 과정들이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 같다. 그리고 요리도구들이 없다면 떡을 만듬에 있어서 좀 못난이 떡들이 대거 나올수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아무래도 디저트이다 보니 재료는 많지 않더라도 모양들이 하나같이 정성이 들어가고 이쁘게 꾸며 놓은 것들이 많기 때문이다. 


시간적 여유가 있을때 우리 전통 K-디저트 한개씩 만들어 먹는 재미로 이 책을 접하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