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에서는 가끔 몇 년전 오늘 무슨일이 있었나를 알려주는 사진이 뜬다.
바로 얼마전인듯 한데 이렇게 세월이 흘렀었나 싶어 놀랄 때가 많다.
그 사진속의 풍경은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사실 속내를 자세히 살펴보면
지금은 그때와 결코 같지 않음을 인식해야 한다.
거울속에 비친 내 얼굴만 안타깝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서서히 달라지는 자연의 모습에 각성을
해야한다는 뜻이다.
환경과 생태에 관심이 많은 저자의 이야기를 보다보면 인간의 무지함에 절로 얼굴이 찡그려진다.
드라마에서나 현실에서 로맨틱한 사랑의 징표로 등장하는 장미에게 아프리카의 눈물이 숨어있다니.
유럽에서 팔리는 장미의 70%를 생산하는 국가가 아프리카 케냐이고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람사르
습지인 나이샤바 호수 주변에 무분별하게 들어선 장미농장에서 생산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가난한 국가의 경제를 책임져주는 이 장미가 왜 눈물의 장미가 되었던 것일까.
장미 한송이를 키우는데 대략 10리터의 물이 필요하고 무한할 것 같은 호수의 물이 장미를 키우기 위해 사라진다는 것이다.
장미를 키우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이 쓰는 물도 부족해지고 농약의 사용은 늘어나고 수질은 점점
나빠지고 부족해져서 호수에 기대 살았던 사람들의 삶은 피폐해진다고 하니 아름다운 장미에 숨은 눈물의 진실은 가슴 아프다.
자연은 순환이다. 아주 오래전 보았던 영화 '대지'에서는 주인공이 복숭아를 먹고 무심코 버린 씨가 자라 무성한 나무가 되는 장면이 나온다.
인간이 의도적으로 씨를 심기전에 자연은 스스로 알아서 싹을 틔우고 나무가 되고 숲이 되었었다.
그 씨앗하나로 인해 연결된 인연을 보면 씨앗하나의 힘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깨닫게 된다.
그 나무가 잘려져 표백제와 방부제로 목욕을 하고 인간에게 나무젓가락으로 자신의 모든것을
내주기까지의 긴 시간과 인연을 생각한다면 나무젓가락의 무게가 결코 가벼울 수가 없다.
무심코 버리는 비닐봉지 한 장, 가볍게 올리는 보일러의 온도 스위치조차 지구의 환경을 파괴하고 고스란히 우리에게 되돌아온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자각하기 시작했다.
극지방의 빙하가 녹고 해수면은 높아지고 이상기후로 인해 태풍과 폭우, 가뭄같은 재해에 시달리면서도 인간은 욕망을 멈추지 못한다. 지구의
허파가 결딴나고 구멍이 뚫려도 당장의 편리함을 포기하지 못한다.
브레이크 없는 욕망은 이제 파멸의 길로 향할 뿐이다.
나비의 팔랑거림이 지구 반대편에서 폭풍이 되듯 언젠가 되돌아올 재해를 예방할 방법은 없는 것일까.
인간의 욕망을 대체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죽어가는 동물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욕심을 줄일 수는 없는 것일까.
물 한동이를 채우기 위해 하루종일 걸어야 하는 아프리카의 아이들과 커피콩을 따고 몇푼을 버는 수많은 사람들의 눈물을 웃음으로 바꾸는 일은
결코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일이 아니다.
내 아이들과 그 아이들이 살아갈 소중한 지구를 위해 우리는 무언가를 포기해야 한다.
내가 내려놓은 욕심이 누군가에게 웃음으로 연결되고 그 웃음은 내 아이들에게 행복으로 이어질 것이다.
세상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