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살이가 쉽지 않다고 해도 때때로 이 시대에 태어나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이 감사할 때가 있다.

'1940, 세 소녀 이야기'란 부제를 달고 세상에 나온 이 소설을 읽으면서도 그런 마음이 들었다.

스스로 선택해서 이 세상에 온 사람은 없다. 소설속에 등장하는 세 소녀, 정인, 은화, 영실도

마찬가지다. 하필이면 그 시간 하필이면 나라잃은 조국에 태어난 것도 죄라고 할 수 있을까.



일본에게 저항하다 찍혀 만주로 가버린 아버지와 그 아버지를 쫓아 떠나버린 엄마대신 국밥집을 하는

이모집에 얹혀 살게된 영실은 일본 앞잡이로 떵떵거리며 잘 살고 있는 아비를 둔 정인과 기생집에 사는 은화를 알게된다.

열 여섯 동갑내기 세 소녀는 단박에 친구가 되었고 개천아래 아지트에서 만나 꿈에 대해 이야기 한다.

영실은 다니다 만 중학을 졸업하고 선생이 되고 싶었고 은화는 작가가 되고 싶다고 했다. 뭐든 되려고만 하면 부족함 없이 이룰 수 있을 것 같은 정인의 꿈은 의외로 현모양처였다.


아지트에서 서로의 꿈에 대해 얘기를 나누던 소녀의 운명은 각기 갈라지고 만다.

기생이 되기 싫어 도망을 친 은화는 취직을 시켜주겠다는 꼬임에 빠져 일본군 위안부로 전락하게 되고 정인은 자식을 멀리 피신시키겠다는 아버지의 의지대로 불란서로 향한다.

영실은 이모의 내연남인 나카무라의 소개로 일본 하카다의 화과자집으로 보내진다.


몸과 영혼이 짓밟히는 위안부 생활을 끝내려 자살을 결심하는 은화, 만주에서 일본 탄광으로 끌려온 아비를 만나게 되는 영실, 그리고 그림으로 소일하면서 친구들의 안부를 걱정하는 정인.

정인의 오빠 정태를 대신하여 징용에 끌려온 머슴 칠복은 영실의 아버지 차씨와 함께 고된 노동에 시달리고 그런 아비를 보기 위해 먼길을 달려온 영실과 조우한다.



전쟁의 막바지로 향하는 일본의 광기에 스러져간 수많은 꽃봉우리들.

'우리의 몸이 더러워진 것은 우리 뜻과는 상관없이 일어난 일이에요. 우리의 잘못이 아니라는 말이죠.'


일본군 위안부의 치욕을 견뎠던 어린 소녀들과 깊은 땅 탄광에서 스러져간 조선의 젊은이들의 삶을 보고 있자니 가슴속에서 울분이 치솟는다. 역사의 소용돌이속에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유린당했던 수많은 조선의 젊은이들의 운명이 서럽기만 하다.

누군가는 치욕의 땅에서 죽었고 누군가는 살아남았다. 그리고 꺽이고 짓밟혀도 스러지지 않고 불멸하는 꽃으로 살아났다.

정인은 자신의 꿈처럼 현모양처가 되는 길을 택하고 영실은 돌아오지 못한 아비를 찾아 밤마다 바닷가를 헤맨다.  그리고 더럽혀진 몸으로 고향에 돌아갈 수 없었던 은화는 새로운 꿈을 그린다.


'몽화'는 단지 지어낸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가 지나오지 않았던 그 시간을 살았던 젊은이들의 생생한 기록서이다.

이 책에 다 적지 못한 스러진 꽃봉우리들이 얼마나 많을 것인가.  작가는 그런 그들은 이 시간으로 불러내어 위령제를 올려준 것이다. 

풀지 못한 한(恨)과 매듭을 풀고 이제는 시름없고 고통없는 저 세상에 안착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얼마전 상영된 '귀향'이란 영화에서 돌아오지 못한 조선의 딸들이 나비가 되어 돌아오는 마지막 엔딩처럼 책을 덮는 순간 가슴이 미어졌다.  아직도 안락의 세상으로 도달하지 못한 수많은 영혼들에게 이 책이 위안이 되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