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임당을 그리다 - 내실에서 꿈을 찾은 예술가
정항교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4월
평점 :
조선시대 여성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참고 견디고 타협하는 삶을 받아들여야 덜 불행했던 시간들을 의미한다.
특히 재능이 뛰어난 여성들일수록, 자기 욕망이 강한 여자일수록 삶은 고달팠고 생은 짧았던 경우가 너무도 많았다. 허난설헌이 그러했고
48세라는 젊은 나이로 삶을 마감한 사임당이 그러하지 않은가.
우리나라 지폐에 최초의 여성으로 등장한 사임당의 짧은 삶은 아쉬웠지만 그녀가 살다간 시간들은 너무도 훌륭했다. 여전히 고루함이 남은
대한민국에서 고액지폐의 인물로 선정되었다는 것은 바로 그녀가 얼마나 뛰어난 삶을 살았는지를 반증하는 일이 아니겠는가.
현모양처의 대명사인 사임당의 삶을 들여다보니 존경심이 절로 우러나온다.
여자라는 이유로 이름조차 가지지 못했던 그 시절 스스로 사임당이라고 명명하고 시,서,화에 재능을 맘껏 발휘했던 그녀가 지금 태어났더라면
얼마나 대접을 받았을 것인가.
강릉 오죽헌에서 딸만 다섯인 집안에 둘째 딸로 태어난 신씨는 이미 학문이 높은 집안에 내력을 물려받아 재능이 잠재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결혼을 하고 집을 떠나야 할 때 다른 딸들이 결혼할 때는 몰랐는데 이 딸만큼은 너무도 섭섭했다고 할만큼 그녀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던 것 같다.
그녀가 그렸다는 조충도를 보니 입이 절로 벌어진다. 그녀의 그림이 얼마나 리얼했던지 닭이 그려진 벌레를 쪼아먹었다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사실처럼 믿어질 정도이다. 색의 농담으로 원근법을 살렸다는지 여성의 세심한 시각으로 나비며 벌, 사마귀같은 벌레마저 살아움직이는 것처럼
생생하게 다가온다.
어디 그림뿐인가. 당시 조선여성이라면 김쌈과 바느질에 능해야했던 시절이긴했지만 그녀의 자수솜씨는 장인의 경지가 아니던가. 더구나 학업을
게을리 하는 남편에게 10년동안 떨어서 살면서 학업에 힘쓰자고 제안하는 아내의 모습은 전장터의 장군처럼 대담하고 당당하기만 하다. 가부장
시대에 그녀의 리더쉽은 쉽지 않았을텐데 말이다.
그런 어머니밑에서 태어난 자식들도 모두 재능을 물려받아 이름을 날렸다고 한다.
율곡 이이 뿐만이 아니라 딸인 매창과 막내아들 이우도 그녀만큼 뛰어난 예술가였다. 단지 그녀의 예술적인 재능만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착한
심성까지 물려받아 후대에 사람들이 칭송할 정도였다고 하니 어미로서 얼마나 뿌듯했을 것인가. 다만 너무 일찍 세상을 떠난 것이 애통할
뿐이다.
단지 두 수 만 전한다는 그녀의 시는 가슴을 파고든다. 홀로 남으신 친정엄마를 두고 서울로 향했던 그녀는 어머니를 그리며 애끓는 마음을
시로 남겼다. '언제쯤 강릉 길 다시 밞아 가 색동옷 읿고 어머니 곁에서 바느질 할꼬.' 처절한 그리움이 뚝뚝 묻어나오지 않는가. 좀 더
많은 작품이 남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
그나마 훌륭한 자식들과 후손들에 의해 조그만 흔적이라도 남아있었으니 다행이다 싶다.
조선시대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지닌 여성이라도 작품은 커녕 이름 석자 남기지 못한 인물이 얼마나 많았을 것인가.
향이 짙은 꽃은 숨기려해도 향이 퍼져나가기 마련이다. 중국에서조차 존경하는 인물이라던 허난설헌에 못지않은 예술가로서의 사임당을 존경하며
아내로서 어미로서 훌륭한 삶을 살다간 그녀의 삶을 흠모한다. 조만간 드라마로 태어날 사임당 신씨의 삶이 너무도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