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숨에 이해하는 군주론 ㅣ 클래식 브라운 시리즈 1
김경준 지음 / 생각정거장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군주'는 단순한 리더가 아니다. 아마 기록된 역사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인물들이 군주들이 아닐까.
그만큼 인류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들이란 뜻일것이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그저 역사시험에 대비하여 외웠던 고전일뿐 감히 읽어보리라는 생각은 하지 못했었다.
아마도 무척이나 어려운 책이라는 선입견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단숨에 이해하는 군주론'은 우선 얄팍한 두께에 놀랐고 생각보다 너무 단순하고 재미있고 무릎을 치게
만드는 이론이 시대를 막론하고 여전히 읽을 수 밖에 없는 명저라 놀라웠다.

인류의 역사를 이끈 리더중 긍정적인 인물은 몇이나 될까.
때로는 영웅으로 때로는 악행으로 이름을 떨쳤던 수많은 군주들이 이 책을 진작 읽고 실행했다면 지금 우리는 더 행복한
국민이 되어있지 않았을까.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전 르네상스 후기, 정치적 혼란에 빠져있던 이탈리아 도시국가 피렌체의 실무 외교관 마키아벨리가
쓴 자기소개용 팜프릿이 왜 지끔까지 인류에게 주목받는지 이 책을 읽으면 답을 얻을 수 있다.

과연 역사에 남을 현명한 군주가 되는 법은 무엇일까. 원치않게 실직을 하고 새로운 직장(?)을 찾아야했던 마키아벨리의 포트폴리오였던 '군주론'은 그의 외교관이라는 직업으로 얻었던 경험없이는 쓰여지기 힘들었을 것이다.
그만큼 세상을 읽어내는 안목을 키운 그가 제대로 된 군주가 되는 덕목을 조목조목 열거해놓은 이 책은 당시에는 인정을 받지 못하고 결국 세상을 떠난 후 주목받게 되었다고 한다.
당시 유럽은 정치와 종교가 부패했었고 '제대로 잘하고 살자'는 마키아벨리의 주장이 곱게 보이지 않았던 모양이다.
사실 군주가 될 인물은 운명처럼 타고나는지 모른다.
'잔혹한 수단은 단 한번으로 족하다'를 보면 시민의 지위에서 군주가 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말하고 있다.
하나는 비열하고 비도덕적인 방법-우리나라에도 이와같은 역사가 존재한다.- 과
또 다른 하나는 조국의 시민들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아 군주가 되는 것-아마도 현대의 지도자를 뽑는 방식이 맞을 것이다-
이런 이론은 권력이 세습되던 당시에는 파격적인 이론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새로 편입한 국가를 통치하는 두 가지 방법
*다정히 안아주거나 짓밟거나-대략 당근과 채찍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알려주는 듯
*무장한 예언자가 승리한다.
*한번 적이 되면 끝까지 적이다-삼국지를 보면 이런 경우가 너무 허다하다.
*항상 군주를 필요로 하게끔 만들어라.-절로 복종이 될테니까..
정말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조언들 뿐이다. 특히 '용병은 피해만 남긴다'라거나 '내 군대만이 진짜 힘이다'라는 조항은 전쟁으로 패권이 갈리던 시대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현대전에서도 용병이나 자국의 군사력은 무척이나 중요하다.
'좋은 성품을 갖춘 척하라'는 조언은 포커페이스의 중요성과 비슷하지 않을까. 간혹 우리는 리더의 카리스마적인 면이 더 권위적이라고 여길지 모른다. 하지만 넉넉한 품을 가진 군주앞에서는 마음을 무장하기 어렵다.
말하자면 상대의 마음을 얻는 방법으로 이런 헐리우드액션도 필요한 것이 군주의 덕목이라는 말이다.
참 쉽지 않다. 하긴 한 나라를 다스리고 수많은 국민들의 생존을 좌지우지하는 군주가 이만한 덕목도 없다면 그 나라는 미래가 없다.
그렇다면 왜 지금까지도 이 '군주론'이 필독서가 되어야하는가.
시대를 불문하고 인류가 요구하는 '군주'의 덕목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단지 정치와 수단이 조금씩 달라지기는 하지만 큰 가지는 달라지지 않는다. 우리는 지금 좋은 군주와 함께 하고 있는 것일까?
얼마전에도 남미의 어느나라에서는 연설도중 수상이 저격을 당해 사망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어떤 군주라도 반대파는 있기 마련이지만 한번이라도 역사앞에서 당당할 수 있는지 되돌아볼 수 있다면 조금은 더 행복한 나라가 되지 않을까.
마키아벨리는 '항상 선한 태도를 지키는 사람은 주위의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 포위당해 몰락하고 만다'라는 말을 남겼다. 선함이 최선은 아니라는 소리이다. 때로는 당근을 때로는 채찍을 제대로 휘두를줄 아는 그런 군주가 될 수 있는 사람들이 군주가 되는 나라에서 살고싶다.
앞으로 군주 혹은 국민들의 대표가 되려고 꿈꾸는 사람들에게 필독서로 꼭꼭 일어봐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