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부자 16인의 이야기 - 조선의 화식(貨殖)열전
이수광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9월
평점 :
절판


'큰 부자는 하늘이 내고 작은 부자는 사람이 낸다'는 말이 있다.

조선의 역사에 큰부자로 이름을 남긴 16인의 이야기를 보면서 과연 이들이 하늘에서 낸 부자인지 생각해본다.

 

팔자소관에 '부(富)가 있다고 해도 가만히 앉아 있었다면 그 부를 가질 수 있었을까.

 

여주 선비 허흥의 이야기를 보면서 양반이지만 과감하게 벼슬길을 포기하고 돈을 벌기 위해 뛰어든 그의 선택과 노력이 그저 '하늘에서 낸 부자'가 아님을 깨닫게 된다.

 

단지 양반이라는 이유로 서책이나 끼고 앉아 배고픔에 시달리기 보다는 실리를 취한 그의 대범한 성격이나 겨우 보리죽 두 그릇을 끓여 한 그릇은 여종에게 주고 부부는 한 그릇을 나누어 먹으면서 돈을 모은 그의 의지는 그저 하늘의 뜻대로 부자가 되었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유기장인인 한순계는 학자의 기상을 지닌 선비였지만 유기그릇의 매력에 빠져 스스로 장인의 경지에 오른 인물이다.

 

조선시대는 알다시피 '사농공상'의 순서대로 직업의 귀천을 구분지었다. 한순계는 천하게 여기던 유기장인이지만 선비의 품위를 잃지 않았을 뿐만아니라 자신의 그릇을 사기위해 긴줄을 설 만큼 수요가 많았음에도 자신으로 인해 장사를 하지 못하는 이웃의 유기장들을 보호하기 위해 문을 닫을만큼 배려심이 많은 사람이었다.

 

 

 

'내 어찌 이익을 독점하겠는가?'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정신을 실천했던 경주 최부자처럼 한계순역시 진정한 부자인 셈이다.

 

'재산을 만 석이상 모으지 마라, 사방 백 리 안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는 가훈을 실천했던 경주 최부자의 정신이 이 시대 부자에게도 전해져 나눔의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부자는 3대를 못간다'는 말이 있듯 경주 부자 김기연은 선대로 부터 물려받은 부를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

 

나름 돈을 벌어보기 위해 안간힘을 썼지만 선천적으로 지독하지 못하고 퍼주기만 한 그가 부자가 된 이유는 동화처럼 재미있기만 하다. 자신이 묵었던 주막옆에 아이를 안고 구걸을 하고 있던 여자에게 20냥을 쥐어주었고 주막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선처를 부탁하고 고향으로 내려간 김기연은 결국 집안을 거널내고 짚신장사로 연명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가 20냥을 건넸던 여인이 총명했던지 주막에 들르는 상인들이 정보를 이용하여 큰 부자가 되었고 결국 은인이었던 김기연을 찾아가 자신이 모았던 돈을 건네고 그의 첩이 되었다.

 

김기연의 경우는 자신의 노력으로 부를 이뤘다기 보다는 그의 선함으로 인해 부를 되찾은 경우라고 하겠다.

 

 

 

 

 

 

조선시대에는 부를 이야기하는 것을 경멸하고 부자를 천시하는 풍조가 있었기 때문에 부자가 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저 책이나 읽고 벼슬을 하는 길이 최선이라고 믿었던 시대에 부를 일군 부자들은 남들보다 시대를 읽는 눈이 있었던 셈이다. 저자의 말마따나 조선이 좀더 일찍 실리를 알고 부를 키웠더라면 후에 역사가 달라지지 않았을까?

 

쌓기만 하고 나누지 못하는 '부(富)'는 진정한 부가 아님을 다시 깨닫게 된다.

 

후일 이 시대의 부자로 이름을 올릴 사람은 누구일까. 경주최부자처럼 진정한 부자로 이름을 남겼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