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 경제학과 심리학으로 파헤친 행복 성장의 조건
폴 돌런 지음, 이영아 옮김 / 와이즈베리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행복의 정의를 보면 '생활에서 충분한 만족과 기쁨을 느끼어 흐믓함, 또는 그러한 상태' 라고 되어있다.

인간은 살면서 행복을 얼만큼 느끼고 살아가고 있을까. 지금 나는 행복한가.

이 책은 행복은 갑자기 다가오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설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이다.

 

 

흔히 생각을 바꾸면 같은 상황이나 환경에서도 행복을 느낀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바꿔야 할 것은 생각이 아니고 행동과 환경이라니 어찌보면 '발상의 전환'이랄까 파격적이고 실리적인 내용이 가득하다.

 

 

과연 내가 행복한가? 그 질문에 대한 피드백을 얻기 위해서는 행복일기를 쓰는 것이 좋다고 소개한다.

'조금 번거러워 보이지만 활동의 세부 내용이나 각각의 활동이 언제 시작되고 언제 끝났는지 정확한 시간이 기억나지 않는다고 해도 걱정할 필요가 없다. 정답과 오답이 있는 테스트가 아니라 자신의 시간 사용법을 행복이라는 렌즈로 들여다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본문중에서

 

 

'나를 가장 행복하게 만드는 것'에 대한 요소들을 죽 나열한 뒤 성취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돈, 새로운 경험, 섹스와 잠, 새집, 동료들....행복감을 주는 요소들은 많이 있다. 이 일지에 쓰여진 외에도 더 많은 것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과연 그런 요소들이 내 삶을 얼마나 행복하게 만들어주는지 스스로 채점을 한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같다.

 

 

과연 이런 일지를 써나가는 사람이 있을지는 미지수이지만 하루하루 큰 의미를 찾지 못하고 행복함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면 시도해봐도 좋은 방법같다. 실제로 나이가 들어갈 수록 이런 잣대로 삶을 재어보는 일에 무디어 지고 일상이 나른하기 마련이다.

새롭게 일상을 바라보다 보면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일 것 같다.

 

 

'하지만 진정한 행복을 찾기 위해서는 즐거움과 목적의식 모두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사람마다 행복하거나 슬픈 정도는 비슷할 수 있지만, 즐거움과 목적의식이 조합되는 비율은 저마다 다르다.

때에 따라 한쪽이 다른 쪽보다 더 필요한 경우도 있다....'

말하자면 마냥 즐겁다고 해서 진정한 행복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목적의식이 있는가...이 두가지가 적절하게 만족되어야 진정한 행복이라는 말인데 나를 즐겁게 해주는 어떤 요인이 삶에 목적의식에 반영되지 않으면 큰 의미가 없다는 해석으로 들린다.

 

 

더구나 지금 내 곁에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도 소중하게 다가올지도 모른다. '좋아하는 사람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더 많이 행복해질 수 있는 거의 확실한 방법이라는데 한표 던지고 싶다.

바로 전에 읽었던 '블루베일의 시간'에서 말기환자들의 마지막 여정을 보면서 죽어가는 이들이 우리는 왜 좀 더 사랑하는 사람들의 존재를 알지 못했는지 더 많은 시간을 함께 하지 못했는지 후회의 말을 남기는 것을 보고 느끼는 점이 많았다.

혼자서는 아무리 많은 부와 명예를 가진들 진정 큰 행복을 느낄 수 없을 것이다.

서로 사랑을 나누고 행복을 나누면 더 많은 것들이 나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이다. 신앙이 사람들의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것은 사회적 접촉이 많기 때문이라는 말에 고개가 끄덕여진다. 우리는 좀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할 수록 경험치도 높아지고 혹시라도 상처를 받았을 때라면 상실감으로부터 좀 더 빨리

회복될 수 있다는 말이다.

 

막연히 감나무 아래에서 감이 떨어지기만 기다리고 있을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삶을 살더라도 좀 더 행복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아과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미 우리가 해왔던 일들도 조목조목 들여다보면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일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게된다. 지루하다고 느꼈던 일상들이 늘 내곁에 있었던 사람들을 소중하게 느낄 수 있었던 행복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