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한 끼 - ‘문화 유목민’ 주영욱의 서울 맛집 기행 47
주영욱 글.사진 / 덴스토리(Denstory)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요즘 예능프로그램을 보면 쉐프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것을 느낄 수 있다.

쉐프라는 단어가 우리 귀에 익숙해진 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저 요리사로만 불리던

그들이 이제는 스타못지 않은 유명세를 누리고 있는 것을 보니 우리나라도 이제 살만해졌구나 싶다.

 

 

'문화유목민'이라는 수식어도 낯설은 저자의 맛집 탐방기는 단순히 입맛 까다로운 식객의 추천사가 아니다.  나도 가끔 맛집 탐방기를 블로그에 올리기도 하지만 그저 동네 맛집을 소개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맛있는 한끼'에서 소개한 맛집들은 말 그대로 글로벌하다.

여행, 음식, 사진등 말그대로 문화를 마구 향유하는 저자정도의 입맛을 지닌 사람만이 쓸 수 있는 소개글이 아닐까싶다.

이탈리아음식부터 프랑스, 인도와 중국음식에 이르기까지 전세계 맛집을 두루 섭렵한 느낌이다.

 

 

출장간 유럽에서 간절히 먹고싶었다던 김치찌개가 생각나면 어김없이 줄을 서서라도 기다린다는 '광화문집'은 얼마전 인기리에 방송되고 있는 '수요미식회'에도 소개된 집이다. 40년 전에 개업을 했다면 내가 광화문 교보빌딩에 근무할 때 한번쯤 가봤을법한 집이건만 전혀 기억에는 없다.

 

 

바다가 없는 충청도출신의 아주머니가 깔끔하게 담근 김치에다 돼지 생목살을 넉넉하게 넣어 칼칼하게 끓였다는 김치찌개는 나도 외국에 나갔을 때 라면 다음으로 간절히 먹고 싶었던 음식이다.

얼핏 가장 쉬운 듯 하면서도 제법 팁이 필요한 이 음식은 아마 한국사람이라면 누구나 좋아하고 추억이 깃든 음식이 아닐까 싶다.

 

 

음식프로그램에 패널로 자주 만나는 홍신애씨가 음식점을 하고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수더분한 인상처럼 이름도 정겨운 '쌀가게'주인이란다. 실제로 쌀을 파는 곳은 아니지만 매일 그 날 쓸 쌀을 도정하여 밥을 짓고 하루 100인분의 음식만 준비하여 다 팔리면 문을 닫는다는 고집이 참으로 프로답다.

보통 하루 몇 인분의 음식만 준비하고 팔리면 문을 닫는다는 집들이 꽤 있다. 이런집들일수록 맛이나 정성이 예사롭지 않다. 장인으로서의 고집과 자부심이 느껴지는 것이다.

 

이제는 전통의 거리로서의 매력이 사라지고 온통 장사꾼 천지인 인사동골목에 이런 수제비집이 있다니 그야말로 등화불명이었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날이면 어김없이 생각나는 수제비. 이 수제비도 공들여 끓이려면 나름의 노하우가 필요하다. 조만간 꼭 들러 먹어보리라 작정을 하게 된다.

 

저자가 소개한 이태원이나 한남동 삼청동의 알찬 레스토랑의 음식들도 언젠가는 꼭 가보고 싶어진다.

집밥처럼 다정한 음식임을 강조한 글에서 저자가 상당히 감상적인 사람임을 짐작하게 된다.

소개글에는 나이가 없어 검색을 해보니 나랑 갑장이다. 제법 듬직한 연륜이 느껴지는데 소개한 음식은 젊고 다정하다.

'가족'이라는 말보다 '식구'라는 말이 더 가슴에 와닿는 나로서는 '맛 있는 한끼'를 사랑하는 사람과 나누고 싶다.

청담동의 고급 레스토랑은 자신이 없지만 동네근처에 있는 진남포면옥이나 이북식 메밀국수를 말아낸다는 '하단'은 꼭 가보고 싶다. 이북이 고향이신 어머니를 모시고 가면 너무 좋아하실 것만 같다.

 

가까운 일본은 100년이 넘은 식당이 수두룩하다고 한다. 대를 이어 장인의 정신으로 백년 식당을 운영하는 멋진 사람들이 있어 우리들의 삶은 더 풍요롭고 따뜻해지는 것이 아닐까.

소개된 식당들이 앞으로 100년 후에도 대를 이어 맛을 이어간다면 참 좋을 것같다.

읽는내내 침이 고이고 배가 고프고 사랑하는 사람들이 많이 그리워졌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