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위 실리콘밸리의 자유로운 업무 방식 - 구글 애플 페이스북 어떻게 자유로운 업무 스타일로 운영하는가
아마노 마사하루 지음, 홍성민 옮김 / 이지북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글로벌시대에서는 태어난 모국에서만 생활하는 것이 조금 답답할 수도 있겠다.

불황이 길어지지만 지난 설연휴에도 해외로 나간 사람들이 어마어마했다고 하는 걸 보면 이제 지구촌이

하나의 나라이고 각각의 나라는 지방의 도시처럼 느껴질만큼 현대인들의 움직임은 커졌다.

백수니 백조니 하는 젊은이들이 늘어나는 현실에서 이제 눈을 돌려 좀 더 자유로운 환경에서 일을 할 수 있는 직장이나 직업을 찾아보면 어떨까. 세계 IT의 산실이라고 할 수있는 실리콘밸리는 평범한 사람들이 넘볼 수없는 성역처럼 느껴지기도한다. 하지만 아주 의외의 능력을 가진 인재들이 실리콘밸리에서 자유롭게 신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 부러운 생각마저 든다.

 

 

이 책을 쓴 저자는 결코 젊다고 할 수 없는 나이지만 일찌감치 실리콘밸리의 가치를 알아본 사람이다.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가서 학위를 취득한 뒤, 실리콘밸리를 거점으로 한 회사를 설립한 사람이다.

그가 말하는 실리콘밸리의 매력은 젊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나이가 든 기존세대들 조차 도전해보고싶을 정도이다.

나 역시 미국에서 공부를 하면서 샌프란시스코의 실리콘밸리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하지만 감히 넘볼수 없는 곳이라는 고정관념때문에 도전조차 해보지 못한 것이 너무 아쉬운 생각이 든다.

 

 

실리콘밸리의 가장 매력적인 점은 작은 지구촌이라는 점이다.

인구의 35%가 미국 국적을 갖지 않은 외국인이라는 것은 그 만큼 다양한 인종들에게 문을 열려있다는 뜻이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컴퓨터회사는 물론 야후나 구글같은 글로벌회사들이 자리잡고 있는 실리콘밸리는 위치 자체가 인재들이 모여들 수 밖에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연중 평균 온도가 일정하고 에어콘이나 난방이 거의 필요없다니 땅 그 자체만으로도 파라다이스가 아닌가.

 

 

실리콘밸리는 고유의 지명이 아니다.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와 서니베일, 산호세같은 지역을 아우르는 지역을 이렇게 부르게 되었는데 미국내에 있는 세계 제일의 '벤처 성지'의 고유명사쯤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높은 벽처럼 느껴지는 실리콘밸리에 입성을 한 인물들을 보면 분명 남다른 개성과 재능이 있는 사람들이다.

재활치료전문가가 되기 위해 공부하던 여성이 우연히 듣게된 다른 분야의 강의에서 진정한 매력을 느끼고 학부를 바꿔 자신이 가야할 길을 발견했다든가 동료의 휴가로 빈 자리를 잠시 대신했다가 의외의 성과로 인정받아 매니저가 되었다는 사례는 언제든지 준비된 사람들에게 행운이 함께 한다는 것을 알게된다.

 

실리콘밸리의 업무방식에서 우리가 본받아야 할 점은 우리사회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학연이나 스펙중심의 선택에서 벗어나 재능과 창조적인 사고를 지닌 인재를 제 자리에 앉혀야 한다는 점이다.

이 책을 쓴 저자도 동양적인 사고에서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동양사회의 종적인 인간관계에서 벗어나 수평적 인간관계를 이루는 실리콘밸리의 업무방식을 본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얼마전 소개된 실리콘밸리의 모습은 참으로 일하는 사람들의 천국이다 싶었다.

출퇴근시간도 자유롭게 정하고 일터가 아닌 놀이터같은 장면이 펼쳐져 있었다. 인간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내기 위한 자유로운 분위기는 고정되고 경직된 우리 사회가 본받아야 할 방식이 아닐까.

머리좋고 성실한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 이런 실리콘밸리의 사고를 지향한다면 대한민국의 위력은 더 빛이 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