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 -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생명 이야기 아우름 1
최재천 지음 / 샘터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일민족임을 내세우는 우리민족의 우수성을 실랄하게 비판하고 인종끼리는 서로 섞여야 우수한 종이

나온다는 학설로 잠시 나를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던 통섭원의 원장 최재천의 책 '손잡지 않고 살아남은 생명은 없다'는 그의 신념이 그대로 깃들어있다.

수십억년을 진화하여 살아남은 인류의 생존은 분명 인류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일이지만 그 모든 업적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다양한 종들과의 공존만이 모두가 살아남을 마지막 희망이라는 주장이 핵심이다.



그가 아직 자신이 가야할 길을 찾아 맘껏 방황하고 있었을 어린시절의 이야기는 원치 않는 방황을 겪고 있는 젊은이들이 꼭 귀담아 들었으면 좋겠다. 군인이었던 아버지와 오랜동안 떨어져 지내야했던 그 시절 그를 이끈 것은 고향인 강릉이었다.

서울에서 공부를 하면서도 방학이면 꼬박 하루를 걸려 달려가곤 했던 강릉은 그가 지금 학계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자양분이 된 셈이다. 결국 그는 자연에 묻혀 같이 호흡하며 살 수밖에 없는 운명이라고 봐야겠다.

하지만 그가 진심으로 걸어가고 싶었던 길을 선택하기까지 그 역시 수많은 갈등과 방황의 시간들을 겪어야만 했었다.



부모의 바람대로 의예과를 진학하여 의사가 되었다면 그는 불행한 삶을 살았을지도 모르겠다.

밀림의 한가운데서 흰얼굴꼬리말원숭이를 만나면 환호하고 발끝에서 꼬물거리는 개미들의 삶에 호기심으로 눈빛이 반짝거리는 그가 흰가운을 입고 하루종일 답답한 병원에 갇힌 채 툭하면 한밤중에도 불려나가는 생활을 어찌 견뎠겠는가.


어찌보면 그가 지금의 길을 선택한 건 아주 단순한 소망때문이었다.

어떻게 하면 놀고먹는 직업이 있을까..했던 진지한 소망.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 수없다.

모든 성공의 결과가 부와 명예를 거머쥐고 결국에는 놀고 먹는 인생을 만드는 것이라고 본다면 그것도 나쁘지 않는 소망이겠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고 놀고 먹겠다니 참으로 황당한 소망이라고 해야겠다.

우연히 한국을 찾은 곤충학자 에드먼즈 교수의 유유자적해 보이는 일상이 그에게 딱 꽂힌 순간 바로 그의 꿈이 되어버린다.

어쨌든 이 우연이 인류에게는 참으로 고마울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나중에 증명이 되었지만 시작은 그러했다.


하지만 그가 선택한 길에 들어서자 그는 최선을 다했고 그래서 행복했고 결국은 꿈을 이루어냈다.

그는 말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굶어 죽은 사람은 없다고.

하기 싫은 일을 단지 돈을 많이 번다는 이유로 붙잡고 사는 삶은 결코 행복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그는 아주 성공한 사람이다.

방황은 젊은이의 특권이라며 맘껏 방황하라고 권하는 그는 사실 어이없는 방황만 한 것이 아니다.

자신이 진정 원하는 길을 찾기위해 고등학교 1학년 때 언론인 봉두완씨를 직접 찾아가기도 했고 유학시절에는 하계의 우상인 윌슨교수에게 편지를 써서 접견의 기회를 얻어내기도 했다.

그가 정말 방황만 했다고 생각하는가.


젊은 세대들이 아픈 시대이다. 방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렸다. 동물행동학자로서 뿐만 아니라 인생의 선배로서 그의 이야기를 귀담아 들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지금의 방황조차도 후일에 자양분이 되는 기회를 잡기를 간절히 바란다.

자신의 어린시절부터 수많은 실패와 방황의 이야기를 들려준 그가 참 멋있게 느껴진 책이다.

수능을 끝내고 대학 선택에 고민하고 있는 아들녀석에게 얼른 읽혀보게 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