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경 - 우리는 통일을 이룬 적이 있었다
손정미 지음 / 샘터사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 한반도의 삼국의 힘이 팽팽하던 시절 유난히 백제와 끊임없이 전쟁을 치워야헸던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했던

순간이 있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이가 몇이나 될까.

드라마를 통해 미실이나 선덕여왕, 혹은 김춘추와 김유신의 존재는 아는 이가 많겠지만 문화적으로 더 찬란했던

백제나 넓은 만주지역을 호령하던 고구려까지 위협했던 신라의 위세를 아는 이가 많지 않은 것같다.

당시 신라의 수도였던 왕경(경주)를 배경으로 고구려의 귀족이었던 진수와 백제의 여인 정이 펼치는 삼국의 팽팽한

정세와 몰락을 그린 작품이다.

 

 

왕을 몰아내고 막리지가 된 연개소문이 고구려를 다스릴 무렵 남부살이의 아들 진수는 부족중 가장 힘이 센 신두수의 선배를

뽑는 자리에서 상대인 제우가 낙마사고를 당하는 바람에 제우를 죽이려했다는 의심을 받게 된다.

당시 고구려의 막리지는 서국(중국)을 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고 눈에 가시같은 남부살이를 전쟁터에 내보낼 구실을

찾고 있었다. 결국 진수의 아비는 전장에 부름을 받고 출전하게 되고 아들인 진수는 사고이후 방황을 거듭하다 이 소식을

듣고 전장터로 아비를 찾아가게 된다. 하지만 힘 한번 제대로 써보지 못한 채 계림(신라)군에게 사로잡혀 포로가 되고 만다.

 

계림의 수도인 왕경에서는 고구려와 백제의 위협에 둘러쌓인 불안한 정국에도 불구하고 귀족들은 사치스런 생활을 즐기고 있었고

단군의 정신을 이어받은 화랑의 인기가 대단하던 시절이었다.

차기 풍월주로 기대되는 김유는 어머니 영명부인의 도움으로 백 여명의 낭도들을 이끄는 우두머리이다.

아들인 김유의 출세를 위해 재물을 베풀어야 했던 영명부인은 우연히 저잣거리에서 마주친 정이란 여인을 내세워 동시(東市)에 가게를

열게 되고 정은 뛰어난 수완으로 가게를 번창시킨다. 하지만 정이란 여인의 정체는 비밀에 휩싸여있다.

 

고구려의 귀족인 진수와 계림의 진골인 김유, 그리고 백제의 여인 정은 묘한 삼각관계를 유지하게 된다.

계림은 나라를 구하기 위해 당의 원정을 청하는 견당사를 선발하여 당의 수도인 장안으로 향하게 된다.

정은 오랜 꿈이었던 장안으로 가기 위해 머리를 깎고 비구니승의 신분으로 변장하고 진수역시 교역을 위한 통역관자격으로 함께 한다.

김유와 진수, 정은 자신의 조국을 지키기 위해 서로를 죽여야 하는 운명에 휩싸인다.

하지만 세 사람의 마음속에 싹튼 애정은 묘한 삼각관계를 이루고 몇 번의 고비에도 서로를 헤칠 수 없는 상황에 이른다.

 

김유는 대왕이 원했던 대답을 얻어 당당하게 계림으로 돌아오고 김유를 죽이려 했지만 차마 이루지 못했던 정은 실종이 된다.

역시 김유를 처단하고 고구려에 돌아가 망명자의 신세를 벗어나려 했던 진수역시 계림에 돌아오게 된다.

 

우리는 이미 계림(신라)이 당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조국의 멸망을 지켜봐야 하는 정과 진수, 그리고 통일의 대업을 이룬 김유의 운명은 어떻게 될 것인가.

작가는 삼국에서도 가장 힘이 적었던 소국 신라가 어떻게 통일의 대업을 이룰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 이 소설을 시작했다고 했다.

오랜시간 경주와 장안 서역에 이르는 길을 걷고 수많은 자료를 수집하면서 과거 정말로 존재했었을 법한 인물들을 되살려 내었다.

사실 엄밀한 의미로 보면 신라는 당의 힘으로 통일을 이루었기에 순수한 통일국의 주인이라고 평할 수는 없다.

당시 신라의 맹장이었던 김유신이나 대왕인 김춘추의 뛰어난 지략이 통일의 초석이 되긴 했지만 궁극의 목적은 신라를 위협하는

두 나라의 멸하고 싶다는 강렬한 염원이 위업의 시작이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고구려가 멸하고 발해국이 건국되면서 다시 한반도의 지도가 달라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한양이 아닌 경주가 수도인 신라의 역사를

오랫동안 간직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자칫 지루할지도 모를 역사소설을 두 남자와 한 여인의 줄타기 사랑이 배합되면서 재미를 더한 작품이 되었다.

당시 국제정세와 삼국의 관계를 한 권의 책으로 설명하기에는 조금 부족한 면이 있는데다 생각지도 않은 반전으로 마무리되어

조금 얼떨떨한 엔딩이 살짝 아쉽긴 했다.

과연 밀당의 천재들이었던 세 사람의 행적은 독자들에게 맡겨졌으니 상상으로 대신해야할 것 같다.

백제가 멸하고 당으로 끌려갔던 수만의 포로와 왕족들은 어떤 삶을 살았는지 후손들이 어디엔가 존재할텐데 하는 상상으로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