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에 핀 꽃들 - 우리가 사랑한 문학 문학이 사랑한 꽃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심코 지나쳤던 길가의 꽃들이 갑자기 모두 자신을 쳐다봐달라고 달려드는 것 같았다.

흔히 문학속에나 등장한 '이름 없는 꽃'들이 갑자기 그동안 무심했던 나에게 명함을 내밀고 아는 척을 해왔다.

김동리작가는 후배 문인들의 글을 보다가 '이름 모를 꽃'이 나오면 "네가 모른다고 이름 모를 꽃이냐'라고 야단을 쳤다지.

 

 

서울내기인 나는 녹색풀은 모두 잡초로 보이고 그저 개나리나 진달래 목련화등이나 알뿐이었다.

텃밭에 잡초를 뽑는다는 것이 냉이였고 갓이었다는 것도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알게 된 그야말로 풀이나 꽃에는 무지렁이였다.

이 책의 저자는 아주 특이하게도 사회부, 정치부를 거쳐 사회정책부 차장으로 일하고 있는 기자이다.

학창 시절부터 수많은 소설을 읽으며 문학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다더니 아니나 다를까 지금도 사람들 기억에 영원히 남을만한

소설을 쓰고 싶다는 열망을 버리지 않고 있단다.

 

 

대체로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중에 한번쯤 소설가나 시인을 꿈꾸지 않은 사람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열망이 있다고 해도 재능이 없는 나같은 사람이 더 부지기수인지라 평생의 소망인 꿈으로만 붙들다가 끝나버린다.

하지만 전라도 출신의 이 기자는 분명 언젠가는 참으로 괜찮은 역사소설이나 황순원의 '소나기'에 버금가는 작품 하나쯤

남길 것만 같다.

 

 

무심코 지나쳤던 그 수많은 꽃들의 이름을 불러준 사람이라면 의당 평범한 우리같은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많은 것들을

보는 재능이 있다는 것이고 자신이 읽었던 수많은 작품들을 잊지 않고 불러낸 재주라면 비평가 못지 않는 눈썰미와 문학적

재능이 풍부할 것이란 믿음이 들기 때문이다.

집 밖 돌담 사이에 수줍게 피어있던 꽃들의 이름을 몰라 불러준 적이 없던 나는 그만 부끄러워진다.

 

 

몇 년전 김훈의 '내 젊은 날의 숲'이 발간되고 아주 잠깐 그의 독자기자로 활동한 적이 있었다.

김훈작가와 동행하면서 나는 그가 상당히 깐깐하고 자기존재감이 대단한 사람임을 알게 되었었다. 얼핏 보수적인 색이

강하다가도 가난한 조국에게 '밥을 먹이는 기술자'가 되고 싶었노라고 회고할 때는 그의 따뜻함에 목이 메이기도 했었다.

나 역시 그의 '칼의 노래'에서 두 번째로 품었던 '여진이란 여인의 다리 사이에서 지독한 젓국 냄새가 나왔다'라는 귀절이

가장 생각난다. 상상만으로는 알지 못살 그 내밀한 것들을 어찌 작가는 알아내었을까..하면서.

그런 그의 섬세하고 완벽할 것만 같은 작품에 아직 조선에 들어오기 전인 옥수수 잎이 등장하고 초가을에나 등장하는

쑥부쟁이가 초봄에 등장하는 오류같은 것들이 들어있었다는 것을 이 책을 읽기전까지 전혀 알지 못했었다.

흔히 '아는 것이 병'이란 말과 '모르는 것이 약'이란 말처럼 굳이 알았대도 작품의 존엄에 큰 흠이 되지는 못했겠지만

'야사모'의 골수 회원인 작가에게 딱 들켜서 추궁(?)당하는 장면은 웃음이 절로 나온다.

조금쯤은 당황스러웠을 김훈작가는 '그 장면에는 쑥부쟁이가 나와야 하고, 옥수수 잎이 서걱거려야 하는데 어떻게 하겠느냐'고

반문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했단다. 아마 속으로는 뜨끔하지 않았을까.

 

 

섬에 살면서 유일하게 새로 알게된 꽃이 '수선화'였다.

작가는 첫 단행본 이후 1,000만부를 돌파하여 한국 현대문학의 대표작으로 우뚝 선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오는 여인들을

꽃에 비유하면서 소설에서 유일한 지식인 여성이었던 교사출신의 이지숙에게서 '수선화'를 떠올렸다고 했다.

흰색과 노란색이 조화를 이루어 깔끔하고, 곷 한가운데 컵 모양의 덧꽃부리가 달린 것이 이지적인 느낌을 주기 때문이란다.

그러고 보니 이제는 지고 없는 수선화가 제법 고고하게 다시 다가온다.

 

너무 일찍 세상을 떠난 오래전 내 스승이 어린 내게 건네주었던 이미륵의 '압록강은 흐른다'부터 전편에 흘렀던 어두운 그림자들을

걷어내고 따뜻한 어머니를 그렸던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등 내가 만났던 문학과 다시 만나는 일은 너무도 행복했다.

다만 내가 읽어 치웠던(?) 그 수많은 작품속에 등장한 꽃들이 왜 나는 기억이 나지 않았는지..

 

 

 

33개의 소설속에 제 이름을 찾은 100여개의 꽃들은 이렇게 무심한 관객에게 버림받았지만 가슴 따뜻하고 눈썰미 좋은 작가에게

불려나와 그나마 다행스럽다. 이제 책을 열면 어떤 꽃들이 등장할지 새로운 숙제찾기가 시작될 모양이다.

문 밖으로 지천인 야생화들이 그럴 줄 알았다는 표정으로 나를 쳐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