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 인 뉴욕 - 마음을 읽는 고양이 프루던스의 샘터 외국소설선 11
그웬 쿠퍼 지음, 김지연 옮김 / 샘터사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양말 신은 고양이'프루던스는 길고양이였던 시절 중년여인 사라에게 발견되어 함께 생활하게 된다.

고양이의 하얀 발을 보고 사라는 귀엽고 작은 양말이라고 말했다.

음악을 사랑했던 사라의 남편은 어린 딸과 아내를 버리고 떠나고 타이피스트로 일하며 딸인 로라를 키워냈다.

'신중한'의 뜻을 지닌 프루던스는 사실 좀 까칠한 녀석이다.

조금은 저렴한 먹이를 주던 사라와 익숙해질 무렵 사라는 갑작스럽게 사라지고 다시는 집에 돌아오지 못한다.

딸인 로라와 사위인 조시는 사라의 바람대로 로라의 집에 옮겨서 함께 생활하게 된다.

낯선 곳에 대한 불안감을 사라의 옷냄새로 극복하고 점차 로라의 집에 익숙해진 프루던스의 눈에 비친

로라와 조시 그리고 사라의 과거의 얽힌 이야기가 잔잔하게 펼쳐진다.

 

 

어린 시절 로라는 살던 아파트가 붕괴위험에 빠지게 된 어느 날 이웃인 만델바움씨의 고양이 허니를 구하려

아파트에 뛰어들려 하다가 사라에게 뺨을 맞은 후 엄마에 대한 사랑을 접고 만다.

홀로 살고 있던 엄마 사라를 찾는 것도 그저 의무감 정도 였을 뿐이다.

사라에게 로라는 위험을 무릅쓰고 붕괴될 건물에 뛰어들어 생명을 구해야 하는 고양이 허니보다 훨씬 귀한 존재였다는 것을

어린 로라는 전혀 이해하지 못했었다.

아마도 사라가 길고양이 프루던스를 키우게 된 이유도 바로 이런 기억때문이었을 것이다.

사라가 죽고 난 후 단지 엄마가 키우던 고양이이기 때문에 키우게 된 프루던스는 귀찮은 존재였다.

하지만 죽음의 위험에 처한 프루던스에게 달려간 로라는 사라에게 프루던스가 어떤 의미인지 조금씩 이해하게된다.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상처를 받곤 한다.

아니 그 사랑을 읽지 못해 스스로 상처를 만들고 있지는 않을까.

세상에서 가장 자존심 강한 도시 뉴욕의 한 복판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나름의 상처와 아픔들이 존재한다.

로라는 프루던스를 통해 어린 시절 상처를 치유하게 된다.

엄마의 친구인 애니스를 통해 엄마가 로라를 얼마나 사랑했는지도 확인하게 된다.

사라가 로라의 곁을 떠나기 전에 이 사실을 알았더라면 아픔은 길지 않았을텐데.

우리는 너무 늦게 사랑을 확인하기도 한다. 내 상처가 너무 깊다는 자괴감에 빠져 진실을 보지 못하기 때문에.

 

'로라가 기억하는 사라에 대한 얘기를 듣는 것은 내가 좋아하는 일들 중 하나가 되었다. 나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사라의 상자안으로 뛰어들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내 코와 발로 뭔가를 끄집어낸다. 이렇게 하면 로라가 얘기를

시작할 뭔가를 갖게 되니까.' -319p

 

사라가 발견하여 키우던 길 고양이 프루던스는 사라의 죽음이후 로라에게 옮겨져 로라의 상처를 치유하는 매개가

된다. 프루던스는 본능적으로 로라의 아픔을 위해 자기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을 하게된다. 마치 사라의 바램을

아는 것처럼.

로라는 프루던지를 통해 어느 누구도 자신을 사랑하지 않을 날에도 프루던스는 로라를 사랑할 것임을,

로라역시 프루던스를 사랑할 것임을 알게된다.

 

조시의 노력으로 재개발로 사라질뻔한 알파빌 스튜디어를 구하고 엄마의 사랑을 확인한 로라는 뱃속의 아기가

태어날 것을 기다리며 어느 젊은 날의 엄마 사라를 그리워한다.

고양이 프루던스를 통해 본 뉴욕의 모습과 상처를 치유해나가는 모습이 감동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