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높고 푸른 사다리
공지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무신론자는 아니다. 하지만 종교에 대해, 아니 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때문에 늘 거리를 두고 살아왔다.
가장 사랑하는 친구가 수녀가 수녀원에 가겠다는 말을 했을 때는 그녀에게 그런 소명이 있었는지 의아했었다.
흔히 절대자라고 말하는 하나님이 계신지 어린시절에도 궁금했었던 모양이다.
선생님이 내주신 글짓기에 어린 나는 '하나님이 어디에 있는지, 있다면 왜 보이지 않는지, 그리고 모든걸 주관하신다는
분이 전쟁이나 기아같은 비극은 왜 그냥 보고만 있는지'묻는 글을 썼던 것 같다.
이 글에서도 하나님의 소명을 받은 수도사들이 비극적인 역사앞에서 물었던 그 질문 '대체 왜?'는 나에게도 평생의
화두였다.
흔히 수도원하면 회색의 닫힌 공간에 검은 수도복을 입고 스스로 노동을 하여 먹을 것을 얻거나 한 평도 채 못되는
방에 앉아 기도하는 모습이 떠오른다. 대중을 구원하기 위해 고행의 길을 걷는 그들은 우리와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수도자들의 스트레스를 연구하겠다고 W시의 수도원에 온 재미교포 소희역시 요한에게 묻는다.
"사랑은 하느님께로부터 오는 거잖아요, 그럼 남녀 간의 사랑도 하느님께로부터 오는 거잖아요. 그런데 카톨릭은
그걸 금하지요. 그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금하는게 아니라 봉헌하는 거지요.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누군가에게 우선권을 준다는 거지요.(중략)
수도자들을 성적인 결핍 상태로만 이해하려고 하는 그런 발상 자체가 사실은 몹시 불쾌합니다."
요한은 그 날 자신이 미숙하였다고 후회스러운 듯 회상했다.
하지만 검은 수도복을 입은 수도자들의 이미지는 닿지 못할 세상에 사는 별개의 사람들이라는 것과 함께
'성적인 결핍'임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들에게도 연민과 사랑에 대한 갈망이 왜 없겠는가. 이미 약혼자가 있는 소희에 대해 들뜬 열망을 느끼는 요한의
모습에 하나의 경계를 넘기전 느끼는 인간적인 고뇌감이 느껴졌다. 그리고 자신이 선택한 수도자의 길에 대한 의심들.
수도원 동기인 미카엘과 안젤로의 죽음에서 '대체 왜'를 외치던 요한의 안타까운 질문들.
죽음을 앞둔 노수사들의 시간들에서도 수도자들의 신에 대한 물음은 계속된다.
서품을 받고 파견되어 온 한국에서 전쟁이 터지고 아우슈비츠 못지 않는 박해를 받아 죽임을 당하거나 비참한 생활을
견디고 살아남은 수도자들은 그 아픈 시간마저도 하나님의 뜻이었다고 말한다.
고통을 통해 하나님의 뜻을 이해한다니...평범한 나로서는 이 말의 의미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인간은 얼마나 작은가. 인간은 그러면서 얼마나 큰가? 인간은 짐승과 신 그 사이에 있고 결국
어딘가에 자신을 매김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네......" -351p
신의 대리자로서 회의를 느껴 파교하려는 신부가 다시 하나님의 부름을 받았다는 일화를 이야기하는
아빠스신부는 인간의 정의에 대한 말이 가슴을 친다.
나는 과연 짐승과 신 그 사이 어디쯤에 서 있는 것일까.
한국전쟁당시 흥남부두에서 만 사천여명의 피난민을 구조했던 빅토리아메러디스호의 선장이 기뢰밭인
바다를 헤치고 거제도에 무사히 도착하고 나서 오열하는 장면에서는 눈물이 솟구친다.
자신이 키를 잡았지만 뱃길을 운전한 것은 바로 하나님 이었음을 알고 수도자의 길을 택해 그 날 자신의
결정으로 목숨을 구한 사람들을 위해 평생 기도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소명했던 그의 삶이 너무도 아름다웠다.
그 피난민중에 하나였던 여인이 요한의 할머니였음은 마치 하나님이 예정해놓으신 각본같지 않은가.
몇 년전 SNS의 몰매를 맞고 휘청거리던 작가가 마치 차오르던 젖을 짜내듯 쓸 수밖에 없었던 이 소설은
한국전쟁당시의 실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예민하지만 늘 당돌하게 느껴지던 작가의 능력으로 알지못했던 역사의
한페이지를 알게되어 감동스러웠다. 그리고 세상에게 들이대기 보다는 펜과 씨름하는 그녀의 모습이 아름답다.
어느 시절 같이 절망했었고 이제는 같이 늙어가는 작가의 '더 열심히 쓰겠습니다. 더 깊이 절망하고 더 높이 희망하겠습니다.'
라는 글이 나를 따뜻하게 했다. 무수한 글의 조합들이 사람들에게 어떤 감동을 주는지 그녀는 이렇게 증명하고 있다.
글로 상처받지 말고 글로 치유하는 그런 작가로 함께 곱게 늙어가고 싶다.
멀리 호스피스 환자들을 돌보는 수녀에게 이 책을 선물하고 싶다. 그녀 역시 높고 푸른 사다리를 하늘과 땅에 걸치는 수도자 이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