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14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14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3년 11월
평점 :
시절이 하수상 할 수록 점집이 북적대고 특히 한 해가 저물갈 요즘같은 시기에는 특히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나아질런지 하는 기대가 넘실거린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이다'라는 말처럼 '과거를 알아야 미래를 안다'는 말이 있다.
미국의 모기지대란으로 시작된 세계적인 불황의 여파는 2013년까지 우울하게 지속되어 왔다.
한국의 지성들이 모여 과연 2014년도를 휘업잡을 트랜드는 무엇인지를 연구한 책이 나왔다.
우선 첫마디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는 2014년'이라고 말한다.
굳이 프로가 아니더라도 불황을 실감나게 체감하는 서민들도 내년의 전망을 그리 좋게 보지 않는다.
2013년을 주름잡았던 트랜드들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된 올해의 결산은 한마디로 '추억'이 아닌가싶다.
70년대 경제발전의 박차를 가하기 시작한 이후 대한민국은 놀랄만한 발전을 이룬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풍요속의 빈곤'이란 말이 딱 요즘에 들어 맞는 것같다.
부익부 빈익빈의 시대가 도래하여 있는 놈은 이런 위기가 더욱 기회가 되고 없는 사람들은 죽을 맛이다.
그렇다보니 아련하게 배고팠지만 그래도 마음만은 따뜻했던 시절이 그리웠던 모양이다.
'응답하라 1994'가 인기몰이를 하고 추억의 먹거리들이 허기진 사람들의 마음을 채워주었다.
'직장의 신'같은 드라마는 갑과 을, 혹은 비정규직의 설움을 속시원하게 꼬집어줌으로써 인기몰이를 했다.
SNS의 약진이야 말 할것도 없다. 심지어 짝을 짝는 프래시몹이 눈길을 끌기도 하고 대선에까지 영향을
미칠만큼 여론을 이끄는 주요 수단이 되었다.
그렇다면 과연 말띠해인 내년에 트랜드는 무엇이 될 것인가?
시대의 장애물을 훌쩍 뛰어넘는 '우승마'가 되기를 소망하지만 혹시 '다크호스'가 나타나
허물어지는 시대를 일으켜 세울지도 모른다는 기대도 해본다.
영국의 경마용어인 '다크호스'는 생각지도 못했던 말이 두각을 나타낸다는 뜻이라고 한다.
'물에 빠진 사람이 지푸라기라도 잡아보는'심정으로 이렇게라도 기댈 곳을 찾아봐야 하는 내년의
전망이 그리 밝지 않다.
넘치는 풍요와 나태의 껍질을 벗고 디톡스를 해야할만큼 우리네 사회 전반에는 독소가 쌓여있다.
거대함속에 틈새를 찾아 승부를 봐야할만큼 초정밀의 시대가 왔으니 눈이 어두운 기성세대들은 어차피
또 밀려나야 할 것이고.
져무는 해야 어쩔 수 없다지만 이제 떠오르다가 구름속에 갇힌 젊은이들은 또 어쩔 것인가.
새로운 직종이 우후죽순처럼 떠오르는 시대이니 '나만의 특수업'이라도 개발해야 할 판이다.
'사이버장의사'는 특히 마음에 든다. 거의 모든 사람들은 아무 대비없이 죽음을 맞는다.
사이버상에 자신의 흔적들을 깔끔하게 지워주는 이런 업종은 참신하기도 하고 유망해보이기도 한다.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어른들이나 젊은이들이 주목해야 할 책이 바로 이 책이란 생각이다.
마치 경마장에 들어선것처럼 전략을 짜서 '우승마'를 짚어내야 하는 것이 바로 말의 해를 맞는 우리들의 몫이다.
부디 내년 이맘때에는 '2014년 선전했다'라고 말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