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의 기생충 열전 - 착하거나 나쁘거나 이상하거나
서민 지음 / 을유문화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민이라는 이름은 말 그대로 수수하고 얼굴은 더 수수하며 이 책은 수수(秀秀)하다.

'기생충'이란 이름에서 선뜻 책을 집어들기가 망설여졌지만 띠지에 있는 저자의 방실방실한

얼굴을 보니 이런 사람이 쓴 글이라면 징그러운 내용만 있지는 않겠다 싶었다.

호오 역시 내 기대를 져버리지 않는 기가 막힌 책이다.

"어떻게 된 게 일반인이 읽을 만한 기생충책이 세 권밖에 없냐?"

저널리스트 칼 짐머가 쓴 '기생충 제국'과 다른 두권은 모두 이 서민씨의 책이란다.

그야말로 한국의 기생충계를 휘어잡은 인물인 셈이다.

 

 

서울대 의대 4학년 때 하고 많은 과목중에 왜 기생충학을 선택했는지 모르지만 그의 남다른

소신이 '기생충 열전'이라는 '사기열전'에 못지않은 명저의 탄생이라는 열매를 맺은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기생충학'을 재미있게 배울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만큼 아주 잘 쓴 책이다.

어려서 대변을 채집하여 기생충검사를 할만큼 '기생충 창궐'의 시대를 지나온 사람으로서

기생충과는 깊은 인연이 있는 셈이니 한 번쯤 읽어볼만 하지 않겠는가..했던 생각은

기생충이 여전히 현재 진행형의 인연이라는 사실을 확인 시켜주었다.

 

매년 기생충약을 먹고는 있지만 내 몸 어디에선가 기생충이 없다고 확신할 자신이 없어진다.

회충이나 요충, 간디스토마, 폐디스토마 정도는 알고 있었지만 그 외 이렇게 많은 기생충이

있다니 어느 학자의 말대로 인간이 과연 만물의 영장이라는 말이 맞기는 할 것인가.

기생충이 인류보다 훨씬 더 유구한 역사를 가졌을 뿐아니라 개체수도 훨씬 많다는데 말이다.

 

 

말라리아가 무서운 병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기생충이라는 것은 놀랍기만 하다.

모기가 옮기는 질병이어서 바이러스같은 것이 인간의 몸에 침투하는 것인줄 알았다.

하지만 모기의 침에 기생하는 충이 들어가 병을 유발한다니..

'바람의 딸 한비야'는 자신의 책에서 말라리아 약의 독성을 얘기한 적이 있었다.

얼마나 오래 먹었던지 간에 이상이 올만큼 약 자체가 상당히 독하는 얘기다.

그러나 그 말라리아 예방약도 100% 막아주지는 못한단다.

오죽하면 100% 예방백신을 개발하면 노벨상은 따놓은 당상이라니 말라리아 퇴치가

인류에게 얼마나 큰 과제인지를 알게된다.

 

흔히 조는 사람들을 보면서 '체체파리에 물렸냐'는 말을 하곤 했는데 이 체체파리가

'감비아파동편모충'이 몸안으로 들어와 수면병을 유발한단다.

희한하게도 얼룩말에는 잘 달려들지 않는다는데 언젠가 쓰레기처리장에 이상이 생겨

파리떼가 창궐했던 그 때, 세로 줄무늬 헝겊이라도 집을 감쌌더라면 파리가 덜 꼬였을지도

모르겠다.

TV에 나와 입담을 자랑하기도 할 만큼 재치가 있는 저자인지라 그의 기생충강의는 위트가

있고 이제는 사라지지 않았을까 싶었던 기생충을 다시 바라보게 되었다.

얼른 기생충약을 종류별로 사다 먹어야 겠다는 위기감마저 느껴진다.

촘촘한 모기장도 하나 더 구입해야 겠고.

이 책이 여러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것을 보니 조만간 기생충예방약을 만드는 제약회사의

주식이 오를 것만 같다.

 

인기 과목을 마다하고 기생충학을 선택했다는 것은 이 저자가 참 특별하다는 증거일텐데

이 책을 내게 된 인연도 더 특별하게 다가온다.

'을유문화사'야 늘 묵직한 작품을 출판하는 회사로 유명하지만 그런 이유보다는 그 출판사

마당에서 키우고 있는 유기견을 보고 결정을 했단다.

'이렇게 버려진 생명을 소중하게 거두어 키워 주는 회사라면..'하는 생각에서.

마음 따뜻한 회사와 기생충을 사랑(?)하는 학자가 만나 세상에 나온 이 책이 어찌 특별하지

않겠는가. 기생충들이 여전히 내 몸에서, 혹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의 몸에서 안락하게 살고

있을지 모를 일이니 '다시보자 기생충'이라는 표어라도 걸어놓고 살펴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