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키토키 유럽 - 네 남자, 유럽인들과의 대화여행
최규동 외 지음 / 이담북스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성있는 네 남자들의 특별한 유럽여행에 따라 나선다.

각각 자신이 속했던 분야에서 일 잘하던 남자들이 아주 느지막하게 보따리를

꾸려 떠난 여행은 흔히 만났던 여행서와는 사뭇 다르다.

 

자신이 연구하는 독일통일 20년을 직접 경험하기 위해,벤처기업의 CEO였다가

돈과 명예가 유일한 목표가 되어있는 삶에 염증을 느꼈던 남자는 자유로움을

만끽하기 위해 유럽으로 함께 떠났다. 그 것도 자전거 여행이라니!

 

여행에 진정한 자유로움을 느끼기엔 자전거가 딱이긴 해보이는데 교통편을 이용할 때마다

분해하고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면서까지 자전거여행은 교통비가 엄청난

유럽에서는 경제적인 매력이 있긴 했다.

 

'한국이란 땅덩어리에서 바쁨이라는 비즈닛의 족쇄를 벗어버리고, 과연 주마간산식의

여행이 아닌 유럽 문화의 본질을 이해하고 평가하기위해.....자전거 페달을 힘껏 밟았다.' -118p

 

캠핑장을 찾지 못해 들어섰던 농가에서 만난 독일여인과의 우정도 캠핑장에서 만난

에바도 통일독일후 느껴야하는 경제적 위기감은 대단하게 와 닿는다.

어느 날, 갑자기 준비없이 축제처럼 다가온 통일이 그 후 20년동안 독일국민 대다수가

지금이라면 반대했을 것이라고 했다니 분단국가인 우리들은 심각하게 새겨들을 일이다.

근면하고 철저한 독일국민들마저 질기게 하는 통일비용에 대한 부담은 고단한 여행객을

집에 더 머무르게 할 수없을 만큼 경제적, 정신적 빈곤을 초래했다.

 

타산지석이라고 민족적 우월주의에 빠져있는 게르만 민족도 감당못할 통일비용을

우리는 과연 제대로 준비하고 있는가...갑자기 통일이란 국민적 소망이 두렵게 느껴진다.

 

유럽은 이제 유럽공동체가 되어가고 있고 특히 젊은 세대들에게는 당연한 일로 받아들여지는 모양이다.

우리 남한의 면적보다도 적은 국가에서 4개의 국어가 존재하고 알게 모르게 느껴지는 이질감은 이제

기성세대들의 잔재일 뿐일까.

 

 

얼핏 일본과 비슷한 문화가 엿보이기도 하는 영국은 다인종을 구경하는 것만으로도 재미가 있다지만

다양한 민족이 섞여 사는 것에 비해 품은 넉넉지 못한 나라인듯하다.

굳이 영국만의 일은 아니지만 내 집에 온 손님마저도 돈을 물리는 철저한 이기주의 내지는 계산적인

사고는 역시 동양인인 저자나 내게도 낯설고 불편했다.

 

'하지만 그들의 무관심은 '우리'에 대한 무시뿐 아니라, 자신의 목표와 삶에 집중하는데서 발생하는

'여분의 정신적 에너지의 결여'때문이기도 하다.' -267p

 

무난하게 대기업을 다니다가 농업을 하기위해 방향을 틀었다는 또 다른 저자는 교회에서 만난 영국인들의

가장된 친절에 이렇게 쓰고 있다. 나도 그 말에 동감한다. 이 문제역시 영국인들만에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선진국이라고 표현되는 많은 나라들, 특히 개인주의에 익숙해진 그들에게 우리들의 감성에 흐르는

정(情)을 기대하는 건 무리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 남자는 때로는 입국장에서 밀입국자 취급을 당하기도 하고 캠핑장을 찾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와중에도 교회와 하느님을 찾아가는 여정은 잊지 않는다.

크리스천이 보는 유럽의 종교관은 아주 특별했을 것이다. 아무래도 종교혁명의 발상지인 유럽은

이들에게 고향을 찾아가는 느낌이었을테지만 어쩌면 그 종교가 유럽을 늙게하고 병들게 한 것은 아닐지..

문외한은 생각해본다.

 

얼핏 가볍게 떠난 여행같아 보이는 이 특별한 여행서는 독일통일과 유럽의 종교, 다민족간의 소통이나

세대간 감성의 결핍같은 것들까지를 망라한 연구서라는 말이 더 적합해보인다.

각기 다른 목적으로 떠난 이 여행에서 네 남자들이 가지고 온 꿈과 미래는 분명 밝을 것이라 기대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