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를 위한 나로호 이야기 - 꿈이 살아 숨쉬는 초등 과학 교과서
신현대 지음, 박경민 그림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지구는 좁다. 우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지구온난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는 환경오염과 부족한 식량으로 위기가 몰려오고 있다.

아주 오래전부터 몇 몇 나라들은 우주로 눈을 돌려 로켓을 발사하고 위성을 쏘아올리는 등

우주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자국 영토 내에서 자국 기술로 인공위성및 로켓을 우주로 띄워 올릴 수 있는 국가들의 모임인

스페이스 클럽(Space Club)에 우리나라는 11번째로 가입되었다고 한다.

우주로 로켓을 띄워 올릴 수 있는 것은 그만큼 어려운 일이며 전 세계 국가들을 우주 개발 기술

수준으로 분류했을 때 가장 높은 A그룹에 속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런 의미에서 두 번의 실패를 딛고 3번째 만에 나로로 발사에 성공한 우리나라는 우주개발시대에

한 걸음을 뗀셈이다. 하지만 우리가 가야할 길은 아직도 멀다고 한다.

앞서 쏘아올렸던 위성들과 이번 나로호 발사역시 우리의 힘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러시아의 로켓기술을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는데 단지 기술이 부족해서라기 보다는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미사일 지침 협정 때문이라고 한다.

로켓 자력 개발을 막는 걸림돌 중에 하나가 고체연료 사용을 제한하는 '한미 미사일 지침'이다.

추진력이 높은 고체연료를 쓸 수 없는 이 협정때문에 우리나라는 액체로켓밖에는 쓸수 없다고 한다.

앞으로 우리가 우주개발에 선두에 서기 위해서는 이 협정을 개선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막연히 기술이 부족하여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것은 물론 연이은 발사실패로

소중한 국민들의 세금이 낭비되었다고 생각했던 내가 조금은 부끄러워졌다.

우주개발 선진국의 연구원들은 수만명에 이르지만 우리나라는 고작 200여명에 불과한데다

지원 역시 부족한 상태에서 이만한 성과를 냈다는 것이 놀라운 일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로켓 발사는 왜 적도가 가까운 바다부근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 로켓 발사후 여러단계를

거쳐 몸체가 분리되는 이유등을 쉬운 그림과 더불어 자세하게 설명해놓고 있다.

이 책은 '어린이를 위한'이란 제목이 붙었지만 사실 어른들도 같이 읽어야 하는 책이다.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연구에만 매달리는 연구원들의 노고에 감사하고 이제 우리아이들의

꿈도 지구를 넘어 우주로 향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보이저 1호가 태양계를 벗어나기전 마지막 촬영을 했다는 '창백하고 푸른 점'이라고 명명된

지구를 보니 티끌만한 지구에서 전쟁과 기근, 증오와 잔인한 행위가 그치지 않는 인간들의

허상을 탄식한 '칼 세이건'의 말이 가슴에 아프게 와 닿는다.

우리는 우주에 한 점 티끌이지만 소중한 이 지구를 후대에 건강하게 물려줘야 할 의무가 있는

지구인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