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64 ㅣ D현경 시리즈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13년 5월
평점 :
이 작품의 주제를 한마디로 말 하라면 당연히 '父情'이다.
다소 무뚝뚝해서 전달되지 못했지만 자식을 사랑하는 애끓는 아버지들이 나름대로
선택한 '선'과 '악'이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 지를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골수까지 형사였고 자부심이 그득했던 미카미는 경찰내에서 비주류라고 분류되는
홍보담당관으로 내쳐진다.
사냥개처럼 기삿거리의 냄새를 향해 이를 드러내는 기자들을 상대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사건의 피해자들의 실명을 밝힐 것이냐 지켜줄 것이냐를 놓고 과연 언론의 역할은 어디까지이며
진실의 한계는 어디까지가 정당한 것인지를 우리에게 묻고 있다.
'알아야 하는 진실과 덮어야 하는 비밀'사이에 고뇌하던 미카미는 끝까지 해결하지 못하고 미궁에 빠졌던
14년전 쇼와64년에 벌어졌던 소녀유괴살해사건의 비밀과 맞닥뜨리게 된다.
아직은 통신기기며 수사장비가 부족하던 시절이었던데다 협박전화를 걸어오는 범인의 목소리가 미처
녹음되기도 전 범인은 유유히 돈을 챙긴 채 달아나고 소녀는 주검으로 발견된다.
14년이 지난 시점에 불쑥 동경 본청에서는 '64사건'을 재조명하고 해결을 독려하기 위해 사건발생지인
D현의 피해자의 집을 방문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피해자의 아버지인 아마미야에게 양해를 구하기위해
미카미를 파견한다.
마침 못생긴 자신의 얼굴을 닮아 괴로워하던 딸 아유미가 괴로움을 견디지 못하고 가출을 한 상태였던
미카미는 딸을 잃은 아마미야의 심정이 전해지는 것 같아 괴로워한다.
폭삭 늙고 지친 아마미야에게 겨우 양해를 부탁하지만 거절의 답변만 얻은 미카미를 기다리는 건
자신이 평생 자부심을 갖고 일하고 싶었던 조직의 권력다툼의 현장이었다.
경찰내에 주류와 비주류로 나뉘어진 권력사이를 비집고 들어오려는 새로운 캐리어 집단과
이를 저지하고 정의를 지키려는 외로운 경찰간의 두뇌싸움과 이 전쟁같은 와중에 자꾸만 끼어드는
'64사건'간의 묘한 뒤엉킴.
이런 비밀같은 퍼즐조각을 찾아 나가다가 마침내 밝혀지는 예상치 못했던 사건의 전모.
전직 기자출신답게 경찰출입기자들의 심리와 과연 언론의 정의로운 역할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잘 드러나 있다.
부패와 부정을 감추고 권력만 탐하는 무리들을 일갈하는 정의로운 아버지들과 스스로 범인임을
증명하는 길에 들어선 범인과의 승부가 흥미진진하다.
마지막 한 방을 남기고 돌아선 의로운 사람들에 대한 판결은 독자에게 일임된다.
과연 '정의란 무엇인가'
10년이란 집필기간이 이 작품의 치밀함을 말해준다.
더구나 출간을 앞두고 다시 수천 매의 원고를 다시 썼다는 작가의 집요함에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다.
인류가 살아가는 한 범죄는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 작품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의인들이 실제하리라는 믿음이 있기에 惡은 善을 끝내 이길 수 없음을
독자인 우리들은 힘을 얻는다. 지금도 세상 어디에선가 더러운 범인을 찾기 위해 애쓰는 수많은 경찰과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분투하는 기자들에게 수고의 말을 건네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