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보고 싶었던 세계 - 하버드대 종신교수 석지영의 예술.인생.법
석지영 지음, 송연수 옮김 / 북하우스 / 2013년 1월
평점 :
'아시아여성 최초 하버드법대 종신교수'의 직함을 지닌 석지영 교수의 인생이 담담히 펼쳐진 책이다.
그녀의 이름앞에 붙여진 수식어 '하버드법대 종신교수'라는 타이틀로만 본다면 경륜이 지극한 노교수가
연상되지만 동안이며 미모인 얼굴을 보면 마흔이라는 그녀의 나이가 무색해진다.
우리는 유독 '하버드'라는 단어에 주눅이 들고 영원한 동경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
미국의 유수한 아이비 대학중에서도 '하버드'가 주는 이미지는 '아메리칸 드림'의 깃발같기도 하고
일단 그 깃발을 뽑은 사람에 대한 존경과 동경이 확실히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게 된다.
그런 희망의 깃발을 뽑기만 한 것이 아니라 종신토록 꿈의 캠퍼스에서 전세계의 우수한 두뇌들을
가르치는 사명을 부여받았다면 한 집안의 경사만이 아닌 민족의 경사가 아닐 수 없다.
서울대 의대와 이화여대 약대를 졸업한 부모를 가진 것 부터가 남다른 행운의 주인공이라고 생각한다.
친가와 외갓집 모두 죽음을 무릅쓰고 남하한 이북출신의 가정이라는 것도 그녀의 남다른 생존본능에
기여한 점이 많았을 것이다.
군사 독재의 암울한 현실을 피해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미국으로 건너간 부모님의 결단도 그녀의 인생에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을 것이다.
그녀의 어머니가 보여준 극성스런 교육열도 한 몫을 했을테고.
그런 여러가지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요인에도 불구하고 그녀가 걸어온 길은 행운이라거나 우연이라고만
이야기할 수없는 끈질긴 요소가 곳곳에 숨어 있었다.
물론 지적인 사고와 경제적인 능력을 가진 부모를 만났다는 것은 행운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삶에 있어 한 두가지쯤 다룰줄 아는 악기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울 수 있었다는 것도
행운이었다.
하지만 그녀가 간절히 되고 싶었던 발레리나의 꿈을 향해 도전하던 모습에서 발톱이 빠지고 피가 맺히는 노력이
돋보인다. 분명 중도에 그만 두지 않았다면 우리는 세게 최고의 발레리나 강수지에 이은 또한명의 프리마돈나를
만났을지도 모른다.
언어가 통하지 않는 벽에 부딪혀 소심하고 사색적인 아이였던 그녀가 만난 도전의 미션들은 단순한 노력만으로
이루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피아노, 바이올린, 발레...이 모든 것들은 숨겨진 재능이 없다면 결코 빛을 발할 수 없는 것들이었다.
하지만 그녀의 내부에 잠재되어있던 이런 재능들을 끌어올려준 좋은 스승들을 만날 수 있었던 것은 정말로
부러운 일이다.
우리는 재능이 많았지만 꽃을 피우지 못한 사람들을 많이 봐왔었다.
그런점에서 석지영은 노력과 함께 행운마저 따라준 많지 않은 사람중에 하나이다.
또하나 그녀가 진로에 대해 갈등하고 어머니와 대립하면서도 꿋꿋하게 중심을 잃지않고
바른 길을 걸을 수 있었던 것은 책이었다는 고백에 감동을 받았다.
중독처럼 보일만큼 책에 몰입하여 자신의 내면과 만났던 시간들이 없었다면 지금의
그녀가 존재할 수 있었을까.
'과하게 높은 기대를 품지 말고 규칙적으로 글을 쓸것. 주제에 대해 다 알지 못하더라도
글을 쓰기 시작할 것. 확신이 서지 않는단어라도 일단 써보고, 내용에 대해 더 알게되면
완전히 다시 쓸 것. 쓰고, 연구하고, 읽고 다시 쓸것. 이 과정을 반복할 것. -173p
그녀의 성공뒤에는 이런 원칙들이 그녀을 이끌었을 것이다.
이런 확고한 의식뒤에는 그녀의 독서가 큰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행운과 재능과 노력이 함께한 그녀의 시간들이 그녀를 지금의 자리에 서게 했을 것이다.
너무나 많은 재능을 뒤로하고 법조계에 투신한 것이 좀 의외이기는 하지만 그녀의 말대로
'말이 형상화되는 매려'에 그녀의 도전의식이 발현된 것은 아닐지 추론해본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되어서야 자신의 부모님들을 더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다는 말처럼
그녀 역시 아이들에게 사랑받고 존경받는 엄마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녀가 보고 싶었던 세계에 그녀가 다 도착했는지는 모르지만 수많은 젊은이들의
동경으로 남아 힘찬 인생을 즐겼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