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 스타일 - 지적생활인의 공감 최재천 스타일 1
최재천 지음 / 명진출판사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세계적 권위를 지닌 자연과학자이자 통섭학자인 최재천 어떤 스타일의 사람일까.

흔히 상대의 스타일을 읽어보려면 우선 외모부터 시작하여 상대가 좋아하는 디자인이며 책, 추구하는

이상과 꿈, 음식까지도 살펴봐야 할 것이다.

최근 고지식한 인문학자가 주류를 이루는 한국의 지식인 지형도에서 '예외적 지식인'으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최재천이라는 인물을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다.

그가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이유는 그가 전공한 자연과학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고 지적 호기심을 발산하는 재미있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진화론을 전공한 학자가 천지창조설의 종교를 편안하게 수용하는 유연한 태도와

한 때는 단과대학 대표선수까지 했을 만큼 농구의 광팬이었고 열정의 댄스를 멋지게 추고 싶어하는

'끼'가 공존하는 그는 결코 고루한 시각을 지닌 학자의 모습이 아니다.

 

 

 

침팬지를 연구하는 제인구달과의 만남을 두고 가슴이 설레는 장면에서는

같은 자연과학자로서의 존경심과 스타와의 만남을 꿈꾸는 아이들의 순수한 설레임이 발견되기도 한다.

한마디로 상대를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최재천의 스타일은 자유롭고 다양하며 멘토로서 손색이 없는

지도자의 품위가 느껴지는 사람이다.

특히 이 책에서는 그가 좋아하는 혹은 대중들에게 크게 어필되는 책들을 통해서 왜 우리들이

그 책을 읽어야 하는지 혹은 검증되지 못한 어떤 부분에 대해서 필터같은 역할을

함으로써 대중들의 무조건적인 욕구를 다독여준다.

'전생에 책 못 써서 죽은 귀신이 여기 앉아 있노라'했다던 그의 아내의 말처럼

그는 많은 책을 낸 사람이다. 반드시 그의 전공뿐만이 아닌 다양한 분야에서 말이다.

그러기 위해서 그가 읽었던 책은 수 천 수 만이 아니겠는가.

단일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는 학자와 선배들에게 '섞으면 아름답다'를 외치는

모습은 당당하고 멋지다.

그래도 너무 많이 섞이면 조상 찾아가기가 힘들지 않을까 생각도 들지만.

아뭏든 그가 추구하는 스타일을 따라가다 보면 자유로운 사고와 단순하게만 바라봤던사물을 보는

시각이 깊어질 것 같다.

자칫 발에 밟힐뻔한 개미 한 마리와 정전사고로 이어지는 까치녀석들의 집짓기도

예사롭게 볼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그가 보았고 추천한 많은 명저들중에 고작 나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한 권만을

읽은 '지적이지 못한'사람인 것 같아 부끄럽다.

그의 말대로라면 얼핏 어려워만 보이는 책들이 생각보다 재미있고 쉽게 읽혀진다니

작정하고 독서목록에 포함시켜 볼 예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