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바꾼 반전의 역사 - 단 하나의 사건이 역사를 바꿨다
김종성 지음 / 지식의숲(넥서스) / 2012년 8월
평점 :
절판


나폴레옹이 추운 겨울에 러시아를 침공하지 않았더라면 프랑스의 역사는 달라졌을까?

나카사키와 히로시마에 원자탄을 터뜨리지 않았다면 일본이 세계를 재패했을까?

우리는 가끔 이런 가정을 해보곤 한다. 실제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혹시..그 때 다른길을 선택했다면 하는

가정은 후세의 사람들에게 또 다른 역사의 반전을 기대해 보는 것이다.

물론 우리 인생사도 그러하다. 그 때 내가 그 길을 선택했다면..

우리는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아쉬움을 좀 더 나은 미래가 있었지도 모른다는 상상으로 대신하는 것이 아닐까.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무학대사는 한양을 도읍지로 정하면서 5백년동안 존재하리라고 예언했다는 설이

맞는다면 어떤 왕이 되었든간에 애초부터 조선은 5백년의 한시적인 운명을 가진 국가였다.

이 오백년이란 시간이 길지 않았다고 생각했던 나는 저자의 말처럼 중국에서 태동되고 번성했던 수많은 나라들의

수명이 조선의 반도 되지 못한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한반도에 세워졌던 삼국의 역사와 고구려, 고려까지 모두 적지 않은 시간동안 존재했기 때문에 조선의 역사가

그리 길지 못했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성계가 최영장군의 명을 무시하고 위화도회군을 함으로써 조선건국의 불씨가 된 사건도 수많은 변수가 있었다고 한다.

만약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을 하지 않았다면...정몽주가 살해되지 않았다면...고려의 멸망은 조금 늦추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국가도 수명이 있다고 생각하는 저자의 말에 어느정도 공감한다.

기득권의 세력이 약화되고 신진세력이 부상하면서 왕권이 약화되는 시기에 백성들마저 등을 돌린다면 왕권을 뒤엎는

새로운 세력이 정권을 잡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소현세자나 사도세자가 왕위를 물려 받았더라면 조선의 역사는 달라졌을까.

장희빈이나 인현왕후가 당파싸움에 희생되지 않고 어느 누구든 살아 남았더라면...후일 실학세력들이 득세하지 않았을까.

이런 의문을 품는 것은 역사학자라면 누구나 가졌을 가정들이다.

하지만 이런 가정을 갖기위해선 지나간 역사를 제대로 해석해야만 할 것이다.

단지 하나의 사건만 보는 좁은 시각으로는 절대 가보지 못한 다른 길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할 수가 없다.

실록에 나온 기록들은 모두 사후에 기득권을 갖는 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므로 절대적인 객관성을 갖는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새서 여타의 다른 기록들까지도 이해한 후에야 여러가지 가정법들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순간의 선택이 역사를 바꾼..아니 어쩌면 예정된 운명대로 진행된 모든 사건들에 대해

여러가지 추측을 해보는 즐거움이 있다.

정조를 미워했던 정순왕후의 섭정과 자신의 친정세력을 키우기 위해 고종을 등극시켰던 조대비의 치맛바람이 결과적으로

조선을 몰락의 길로 내몰았다는 가설은 참으로 아쉬운 결말이었다.

나비 한마리의 날개짓이 거대한 태풍이 될 수도 있다는 '나비효과'처럼 포르투칼의 탐험가의 항해가 임진왜란의

씨앗으로 자랐다는 가설은 저자의 역사관이 얼마나 광대한지를 절로 느끼게 한다.

이런 가설들의 참된 목적은 수많은 질곡의 시간을 거쳐 대한민국으로 꽃피운 우리 조국이 좀 더 지혜롭게 미래를

일구기 위한 초석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판타지가 아닌 역사를 통해 앞날을 짚어보는 점술가같은 시각을 키워본 아주 훌륭한 경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