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어떻게 끝나는가
크리스 임피 지음, 박병철 옮김 / 시공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가 끝나가는 1999년은 종말론에 휩싸여 지구가 뒤숭숭한 해였다.

어떤 이들은 재산을 모두 처분하고 마지막 가는 길을 정리하기도 하고 영원한 삶을

위해 종교에 귀의하는 이들도 있었다. 새해가 시작된 2012년도 종말론에 예견했던 해이다.

왜 우리는 이런 종말론에 휩싸여 공포에 떨어야 할까.

엄청난 우주속에 한 점으로 존재하는 지구가 걸어온 길을 보거나 온난화로 몸살을 겪고 있는

지구의 현실을 보노라면 언젠가 이 세상이 멸망하리라는 어두운 미래를 생각할 수 밖에 없게된다.

우리 모두는 언젠가 모두 죽게된다. 100%!

이런 불변의 진리를 거부하고 영생의 약을 찾아 세상을 헤매였던 진시황도 있었지만 불치의 병이

언젠가는 치유되리라 믿고 냉동인간의 길을 선택한 사람들도 있다. 세상이 어떤 방식으로 멸하든

인간들은 죽음으로 세상의 종말을 고하는 것은 당연한 순리가 아닌가.

저자인 크리스 임피는 우주생물학을 연구하는 천문학교수이다.

거대한 우주의 범위와 행성들의 탄생과 소멸에 관한 그의 해박한 이야기들을 보노라니 먼지 티끌같은

존재인 인간이건만 이렇게 거대한 문명을 이루고 발전해왔다는 것이 새삼 놀랍기만 하다.

 

 

화성의 어느 돌멩이하나에서 생성된 세포하나가 지구로 건너와 인간탄생의 시초가 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은 무척이나 흥미롭다.

 

과거에 인간의 수명은 지금의 절반정도였고 이제 몇십년후면 정복하지 못할 질병이 없을 것이란 예견도

긍정적으로 들린다.

 

 

생명의 기원이 바다라는 것이라는 설은 저자도 공감하는 모양이다. 어쨋든 미미한 원소하나가

인간의 시초였을 것이고 엄청난 시간이 지나오면서 진화를 거쳐 지구에 엄청난 문명과 문화를 탄생시킨

존재라는 것만으로도 인간의 힘은 위대하게 느껴진다.

놀라운 문명을 이룬 과학의 힘이 때로는 방자하게 발휘되어 치명적인 바이러스가 만들어졌다는 것에

경악을 금치못하겠다. 칼이 도구로 쓰일 때는 훌륭한 요리가 탄생되지만 무기로 쓰이면 피를 부르는 것이

바로 과학의 명(明)과 암(暗)이 아닐까.

인간의 능력이 어떤 쪽으로 쓰이는 가에 따라 인류의 멸망이 지연되거나 탈출의 기회를 가질지도 모를일이다.

 

 

어쨋든 저자의 예견대로라면 불(火)이은 얼음이든 어떤 식으로든 지구는 소멸하게 되는 모양이다.

그나마 다행인것은 지금 이 책을 보는 독자들은 지구의 멸망으로 죽을 확률은 거의 없다는 점이다.

우리는 그 끝을 보기전에 질병이나 사고로 죽거나 수명을 다해 죽게 될 것이다.

영원불멸일 것처럼 보이는 태양의 미래도 밝지가 않단다. 언젠가는 한 줌의 재로 우주에 흩어질 것이란

예측은 참혹하게 느껴진다. 지금 지구의 생명체들은 태양의 에너지로 살아가기 때문에 태양의 소멸은

곧 지구의 소멸을 의미한다.

이 거대한 우주에서 우리의 삶은 하루살이이 삶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말에 숙연함을 느끼게된다.

우리 머리속에는 우주보다 더 거대한 생각들이 넘실거리고 오늘 하루조차 버거워 허우적거리며 살아가는

인간들이 얼마나 많은가. 하지만 이런 파란만장한 삶도 우주의 눈으로 보면 한낱 하루살이같은 삶이라니..

들끓던 욕망도 대단할 것 같은 인생도 갑자기 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만들어졌든 인간이 우주의 일원으로 살다갔다는 것을 먼 훗날 과연 누군가 알아줄 것인가.

오늘 하루도 오만하게 세상을 살고 있는 무수한 인간들을 내려다 보고 있는 저 우주의 별들은 과연 우리

인간의 최후를 알고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