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의 거짓말 - 명화로 읽는 매혹의 그리스 신화 명화의 거짓말
나카노 교코 지음, 이연식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유명화가의 회화는 왠지 옷깃을 여미고 봐야할 것 같은 숙연함이 느껴진다.

소름끼치게 리얼하거나 아름다운 작품이어서이기도 하고 내가 가보지 못한 시간의 향기가

그대로 묻어있는 역사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신화와 역사가 미묘하게 교차되는 그리스 신화속의 이야기를 화가들은 어떻게 표현했을까.

마치 실제한듯한 그 몽환의 세계를 들여다 보고 있자니 그리스의 아름다운 평원에서 님프와

노니는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그리스신화는 아름다운 이야기보다는 신들의 추악한 사랑이야기나 애욕, 질투와 복수극이

주종을 이루는 것 같다.

특히 제우스의 바람끼는 정말 못말리겠다.

'신'이라는 특권을 이용하여 신과 인간사이를 넘다들며 온갖 방법으로 바람을 피우는 꼴이라니.

 

 

제우스의 아내 헤라와 미와 풍요의 여신 아프로디테, 그리고 태양의 신 아폴로의 애정행각은 실로 눈부시다.

당연히 이런 난봉꾼 신들의 누드화는 요염하고 풍만하다. 물론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누드화가 금지되었던 중세시대에 억눌려있는 성의식을 이렇게 난봉꾼들인 신의 모습을 통해 표출해보고 싶었던 건

아닐까.

1742년 프랑수아 부세의 '목욕하는 디아나'의 주인공은 달의 여신 아르테미스다.

미녀의 대명사로 떠올릴만큼 아름다운 아르테미스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있었던 화가는 바로 부세라고 한다.

같은 여자가 봐도 정말 아름다운 모습이다.

자그마한 머리, 근육이나 뼈를 느낄 수 없는 둥긋하고 나긋나긋한 팔다리, 정말로 손을 대어보고 싶을 만큼

온기가 느껴지는 알몸을 보고 있자니 질투가 느껴지기도 한다.

 

 

유명화가들이 그린 아름다운 여신들의 몸매를 보노라면 중세에는 조그만 가슴과 풍만한 허리뿐만 아니라

이중턱조차 미인의 기준이었다니 왜 그 시대에 태어나지 못했을까 하는 아쉬움마저 든다.

건장한 모습의 아폴론과 자신의 아름다운 얼굴에 스스로 빠져 수선화가 되었다는 나르시스의 모습을

보면 여인의 미모 못지 않게 남성의 미모도 중요했던 모양이다.

얼핏 지나치기 쉬운 풍경화와 인물화에 그칠지도 모를 명화들 속에 숨은 메시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야코포 딘토레토의 '불카누스에게 발각된 비너스와 마르스'를 보면 절로 웃음이 나온다.

아내의 바람을 의심하여 침대에 누워있는 아내의 얇은 속옷을 들쳐보는 늙은 남편의 모습에서

꺼져가는 사랑과 그래도 포기할 수 없는 한 사내의 속절없는 사랑이 서글프기도 하고

침대밑에 숨어있는 바람둥이 아레스의 한심한 모습에 웃음이 나오기도 한다.

 

 

추운겨울과 꽃피는 봄을 대비하여 서로 다른 곳을 보는 여신들의 모습은 설명이 없었다면

결코 알수 없는 메시지이다. 역시 이곳에서도 서쪽의 바람의 신 '제피로스'는 음흉한 바람끼를 드러내고 있다.

잘못된 제목을 바로잡는 경우도 있다. 단순히 보면 천을 짜는 여인들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질투에 휩싸인

전쟁의 아테나와 베짜는 솜씨가 좋았다는 아라크네라는 젊은 여인의 겨루기라는 것을 알아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저자의 설명을 듣고 보니 하기는 갑옷과 투구 차림으로 천을 사러 오는 여성은 없고 작업장에 첼로

같은 걸 놓아둘 리 없다고 왜 아무도 생각지 못했을까.

'명화의 거짓말에 쉽게 속아서는 안 된다. 눈을 똑바로 뜨고 바라봐야 한다!' -208p

'무서운 그림'에 이어 명화의 잔혹한 진실을 알려주는 나카노 교코의 실랄한 눈은 청맹과니같은 우리의

눈이 제대로 떠지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