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감록 - 신역 ㅣ 홍신한문신서 42
이민수 엮음 / 홍신문화사 / 1985년 5월
평점 :
품절
20세기가 끝날 무렵 세계는 종말론에 휩싸여 뒤숭숭한 2천년을 맞았었다.
노스트라다무스의 예언이나 마야의 예언들은 여전히 사람들을 불안하게 하고있다.
이렇듯 미래가 불안할수록 사람들은 예언을 믿고 피난처를 찾게 된다.
신을 대신하는 교주들이 등장하고 신종 종교가 사람들을 현혹했다.
이런 불안감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있어 왔던지 우리나라에도 예언서가 등장하게 된다.
참서(讖書)의 하나인 이 책은 여러 비기(秘記)를 모은 것으로 참위설,풍수지리설,도교 사상등이
혼합되어있다. 저자도 알수없고 오랜세월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동안에 다양한 이본(異本)이 생겨
그 종류가 40~50종류에 이른다고 한다.
또한 책이름이기 보다는 말세예언을 추종하는 민간신앙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정감록》의 원전 격인 《감결》은 조선의 선조인 한륭공(漢隆公)의 두 아들 이심(李沁)·
이연(李淵)과 조선 멸망 후 일어설 정씨(鄭氏)의 조상이라는 정감(鄭鑑)이 금강산에서 마주앉아
대화를 나누는 형식으로 엮어져 있다.
그 내용은 조선 이후의 흥망대세(興亡大勢)를 예언하여 이씨의 한양(漢陽) 도읍 몇백 년 다음에는
정씨의 게룡산 도읍 몇백 년이 있고, 다음은 조씨의 가야산 도읍 몇백년 같이 우리나라의 도읍지를
말하고 그 중간에 언제 무슨 재난과 화변이 있어 세태와 민심이 어떻게 되리라는 것을 차례로
예언하고 있다. 유난히 변란이 잦았던 과거의 역사이다 보니 민심이 이런 예언서에 혹세무민하여
십승지지(十勝之地)와 같이 전쟁의 화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곳을 찾는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주로 깊은 산중에 자리한 십승지가 아무래도 전쟁으로부터 안전하였을 것으로 생각되긴 한다.
정감록과 같은 책이 대중에게 관심을 받는 것은 외세로부터 백성을 지켜주지 못하는 지도자의 무능과
힘이 없는 대중이 기댈곳이 없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과연 정감록에 쓰여진 대로 역사가 전개되어왔는지는 잘 모르겠다.
어떤 부분을 맞고 어떤 부분은 황당한 이야기로 남았다.
대중에게 비기로 관심을 받았던 정감록은 어떠한지 실체를 알고 싶었다.
아쉬운 점은 정감록에 기록된 사건들이 과연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설명이 없었다는 점이다.
단순히 책을 해석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역사와 맞물려 예언서의 진면목을 제대로 보여주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면 대중에게 정감록의 실체가 좀 더 확실하게 다가올 수 있었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