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은 사랑한다 세트 - 전3권
김이령 지음 / 파란(파란미디어)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마지막 장, 이제 늙어 버린 원의 마지막 말은 도무지 읽히지 않았다.

 

'네가 있어 다행이었다. 널 두고 두고 괴롭히면서 한편으론 두고 두고 의지했었다...

너무 늦었지만 더 늦기전에 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이제 네마음이 원하든 대로 가렴.'

 

뿌여진 눈에 흐트러져 버린 글자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 네 사랑은 그렇게 져 버렸구나. 빛나던 네 얼굴의 미소는 주름속에 사라졌고

이루지 못한 사랑과 갈망도 그렇게 져 버렸구나. 왜 내 눈에 눈물이 흐르는 것일까.

 

고려에서 몽고, 고비의 사막에 이르는 대장정이었다.

왕원, 왕산, 왕린과 함께한 그 시간동안 내내 원을 미워했었다. 아니 사랑했었다.

 

이런 사랑이라면 내게 오지 않기를 바랬다. 아름다운 소년 둘과 한 소녀와의 사랑이라니.

애증과 갈망이 절절한 사랑은 너무 버겁다.

한때는 이 세상 절반을 점령했던 대 제국 원(元)의 종속국이었던 고려.

징기스칸의 발아래 꺽여버린 나라들 가운데 그나마 피를 섞음으로서 살아남았던 나라이다.

그렇게 섞이지 않았다면 후에 조선이나 지금의 우리나라가 온전히 존재했을까.

왕이라면 모든 권세를 누리고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는 줄 알았지만 정작 사랑만큼은

얻을 수 없었다. 원의 볼모이다 시피한 처지도 과히 부러워보이지 않는다.

모든 것을 다 가진 것 같은 왕이었지만 정작 자신이 사랑하는 한 여자는 얻지 못하고

자신을 사랑했던 여자는 품질 못했다.

 





 

고려의 여자는 물론 몽골의 여자들은 나름대로 권리를 누렸던 것 같다. 왕의 뒤에는 왕을 조종하는

모후가 있었고 마음마저 좌지우지하는 여자들의 암투가 볼만하다.

사랑과 우정의 경계는 어디인가. 왕과 왕이 사랑하는 여자 모두를 사랑한 린의 절제심이 서둘러

결말을 보고자했던 마음을 주저앉히곤 했다. 정말 이런 사람, 이런 사랑이 있을 수 있나.

멋진 두 사내에게 사랑받았던 '산'의 기다림 또한 나는 감당할 자신이 없다.

그럼에도 왜 나는 '산'의 모습에 내 맘을 얹고 싶었을까. 실제했던 충선왕이 이런 삶을 살았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이보다 더 한 사랑이 없었다고 단언치 못할 과거의 시간들이기에 차라리 이런

기가막힌 사랑극 하나쯤 저 먼 시간속에 있었기를 바라는 마음마저 든다.

어느 시대 어느 곳이었다해도 사랑은 기적을 이루고 결국 승리함이 또 한번 증명이 된 셈이다.

실제했던 인물들과 사건들의 자료를 끌어 모아 이렇게 아름다운 작품을 내어놓은 작가의 역량이

대단하다. 글 좀 쓴다는 작가들 조차 겁내는 역사소설을 이렇게 살아있는 작품으로 독자들에게

다가오는 작가라면 앞으로 그녀의 작품을 두고 볼만 하겠다.

산, 린, 그리고 불행하면서도 행복한 왕이었던 원...너희들의 아름다운 사랑에 행복한 시간이었다.

너희들을 닮은 후손들이 이 세상 어디선가 너희의 사랑이 실제했음을 완성했음을 보여주고 있을 것이라고

나는 믿기로 했다. 그리고完이라고 쓰고 싶다. 너희들의 사랑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