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김주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이라면 누구에게나 절망의 순간들이 한 번쯤은 오게 됩니다.
자신의 잘못이든 타의에 의해서든 절망은 예고없이 찾아들어 몸과
마음을 피폐하게 만들고 기어이 죽음에 이르게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이 절망을 기회의 시간으로 만들기도 합니다.
누구나 절망을 쉽게 이기는 힘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 심리학에서는 역경을 이겨내는 힘을 회복탄력성(resilience)라고
부르고 그 요인을 7가지로 나누어 회복탄력성지수(RQ)를 만들어 냈습니다.
그 7가지는 감정조절력, 충동통제력, 긍정성, 원인분석력, 공감능력,
자아확장력, 소통능력입니다.
이 회복탄력성지수가 높은 사람 일수록 인생을 긍정적으로 살 뿐만 아니라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과연 여러분의 회복탄력성지수는 몇 일까요?
RQ가 높은 사람일수록 행복을 느끼는 능력이 뛰어난 것은 당연합니다.
혹시 감사한 일이 없거나 무엇을 보거나 느끼거나 해도 행복하지 않다면
분명 당신의 회복탄력성지수는 낮을 것입니다.
행복을 느끼는 능력의 50%는 유전적 요인이고 10%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나머지 40%를 차지하는 학습에 의한 낙관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훈련에 의해서 행복을 느끼는 능력을 기를 수 있고, 그것이 나머지 60%의 요인을 지배한다는 것입니다.
학습에 의해 절망을 딛고 일어날 수 있게 하는 힘인 희망, 즉 ‘목표성 있는 낙관성’을 되찾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의 이상묵 교수는 국비 장학생으로 MIT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전도 유망한
해양지질학자였습니다. 전세계 바다 곳곳을 누비며 세계적인 학자들과 여러 공동 연구를 진행하던
그가 한창 일할 나이인 45세 되던 2006년 여름. 머나먼 미국 땅에서 차량이 전복되는 사고를 당하고
전신마비의 몸이 되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그는 현실을 냉정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받아들입니다.
결국 6개월만에 일상생활에 복귀하는 놀라운 회복탄력성을 보여주게 됩니다.
"일밖에 모르던 내가 사고 후에 오히려 희망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행운아입니다."
전동 휠체어를 타고 강의와 연구에 몰두하는 한편 보조재활공학센터를 만들어 장애인을 위한
기술개발을 시작했고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없애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닥친 사고를 불운의 시작이라고 보지 않고, 몰랐던 다른 세계를 볼 수 있는 새로운 인생
방향의 전환이라고 역설하며 장애인 학생들에게 희망을 불어 넣어주는 희망메이커가 된 그의
놀라운 인생반전기는 바로 그가 가진 회복탄력성지수가 높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절망과 불행을 희망과 행복으로 반전시키는 ’회복탄력성’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신의 ’회복탄력성지수’를 높힐수 있는지 이 책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