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 장수 문순득, 조선을 깨우다 - 조선 최초의 세계인 문순득 표류기
서미경 지음 / 북스토리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이 아직 제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우물안 개구리로 살아가던 시절에...물론 정조는 이 우물안에서

빠져나오고자 애를 쓰긴 했으나 안타깝게도 병인지 독살인지로 삶을 마감한 뒤에 우이도가 고향인

홍어장수 문순득은 3년 2개월에 걸친 표류생활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왔다.

 

흑산도에서 잡은 홍어를 나주 영산포에 가서 팔고 쌀과 물품을 사서 섬에 되파는 업을 하고 있던

문순득은 갓 혼인을 한 스물다섯 살의 나이에 홍어를 팔고 돌아오는 길에 태풍을 만나 고달픈 표류자의

신세가 된다. 보잘 것 없던 배를 타고 거대한 태풍에 맞서 살아 귀환했다는 것으로 보면 행운은 분명한데

만약 그가 단순히 살아 왔다는 것으로만 한다면 그의 이름을 지금 내가 만나지는 못했을 것이다.

 

죽음과 맞서는 험난한 여정속에서도 그의 의지와 빛나는 관찰력과 강렬한 호기심은 결국 그의 고향에

유배와 있던 정약전을 만나 그의 표류담은 '표해시말'이란 책으로 남았다.

그리고 정약전은 그 젊은이에게 '하늘 아래 최초의 세계 여행자'라는 뜻으로 천초(天初)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처음 홍어장수 문순득이란 인물을 만난 것은 KBS역사스페셜이란 방송에서였다.

섬에서 나고 자란 그가 바다에서 표류하지 않았다면 기껏 섬과 육지나 오가는 장사치로 일생을 마쳤을 것이다.

그에게 태풍은 재앙이었겠지만 당시 새로운 세상을 꿈꾸었던 실학자들이나 이 글을 읽고 있는 후세에

우리들은 분명 어둠에 갇힌 눈을 뜨고 도대체 그 시대에 다른 세상은 어떤 모습이었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가뭄에 단비와 같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으니 아마 세상을 떠나기전 문순득 자신도

그 시간들을 재앙으로만 기억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의 풍습과 많이 닮았다는 오키나와의 역사는 눈여겨 볼만한 기록이다.

단지 전후 그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미국에게 일본은 반환을 요구했고 굉장한 이슈가 되었다는 정도로만

알고 있던 그 곳이 사실은 독립된 나라였다는 것도 놀랍고 언어와 풍습등이 일본에 복속되는 과정이

그저 남의 얘기로만 흘려 들기에는 우리와 비슷한 상처를 지닌 슬픈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가장 놀라운 것은 조그만 섬출신의 장사치가 험난한 여정을 견디면서도 총기를 잃지 않고 새로운 것들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응용하려했던 그의 지적 호기심이었다. 그런 점에서 다른 수많은 표류자들과는 확실히

다른 인물임에는 분명해보인다. 더구나 정약전,정약용 형제를 만나 이렇듯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는 것은

아마 운명이 아니었을까. 그의 눈을 통해 조금이나마 세상을 보여주고 싶었던 간절함 바람같은 것이 하늘에

닿았던 것이 아닌지. 그가 사상이나 당파에만 얽매인 양반이었다면 결코 이런 생생한 기록이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누구에게나 잘 어울리고 적극적인 장사치로서의 사고가 큰 도움이 되었던지 마치 영화를

보는 듯 생생한 여정이 흥미롭기만 하다.

조선의 신통치 않은 배라도 제대로 만들어 보기를 소망했던 염원조차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넓디 넓은 세상에서 보고 들은 문순득의 귀중한 체험들이 가난과 억압으로 신음하던

불쌍한 백성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못했음은 당파싸움에만 연연하던 무지몽매한 양반네들의

한심함이었으니 어찌 다 말로 할 것인가.  다행인지 불행인지 외로운 유배생활을 했던

두 형제들에 의해 수많은 저서로 남으니 그것으로 위로할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