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숨은 왕 - 문제적 인물 송익필로 읽는 당쟁의 역사
이한우 지음 / 해냄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조선이 500년의 역사를 이어 오면서 가장 한심했던 일은 바로 당쟁과 수많은 옥사였다.

세종이나 정조같은 제대로 된 왕감이 부족했던 것이 큰 원인이기도 하겠지만 우물안 개구리처럼

큰 세상을 보지 못하고 서로가 파를 나누고 헐뜯기에 골몰한 사림파들의 세 다투기가 큰 문제였다.

'조선의 숨은 왕’이라는 제목에서부터 시원찮은 선조의 뒤에서 왕의 마음을 읽고 왕을 조종하려

했던 주인공 ‘송익필’의 원대함을 알 수 있었다.

 

사실 서인의 영수이기도 하였고 주자학의 대가였던 송시열을 많이 알려진 인물이다.

이 송시열의 스승이었던 김장생과 그의 스승이었던 ‘송익필’은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다.

신분제도에 사슬에 묶여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에 그의 태생부터가 드라마틱하다.

모계의 신분을 따라야 했던 그 시대에 비첩이었던 여종의 몸에서 태어나 노비와 서얼이라는

신분임에도 높은 벼슬에까지 올랐던 그의 부친 송사련의 삶도 예사롭지 않다.

자신과 핏줄을 나눈 안당을 고변하고서 부와 명예를 얻었던 송사련과는 다르게 오히려 아비의

업으로 벼슬길을 차단 당하고 평생을 야인으로 어둠속에 살아가야 했던 송익필이 노비의 신분으로

환원되고 죄인으로 쫓기는 삶을 살면서도 우유부단하긴 했지만 일국의 왕이었던 선조를 움직이고

그의 삶을 끈질기게 흔들리게 했던 인물이라니..그리고 저자의 말처럼 숨어있던‘송익필'을 기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억하기 위해 이 책을 썼다고는 하나 마치 잘 짜여진 대본을 보는 것처럼 선명한

영상들이 계속 눈앞에 펼쳐졌다.

 

크기변환_사진 1306.jpg

 

 

단순히 사실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생명을 불어 넣어 3D의 차원으로 생생하게 되 살려낸

저자의 능력이 너무 놀랍기만 하다. 안다고 해서 누구나 다 죽어있던 시간들을 이렇게

현재에 끌어다 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민족의 치욕이었던 임진왜란이 닥치기 전 넓은 세상을 바라보기 보고 준비를 하기 보다는 잘난

신하들에게 편하게 묻어가려 했던 편협한 왕 선조가 통치했던 그 시절의 조선은 그 어느때보다도

인재가 많았던 시기이기도 했다.

 

이이가 그러했고 정철과 류성룡, 성혼같은 쟁쟁한 학자와 정치가가 있었음에도 때로는 친구가

되었다가 때로는 반목을 하기도 하는 정치판의 몰염치가 한심스럽게 느껴졌다.

서로가 서로를 물어 뜯으며 계략을 짜고 상소를 올리는 장면들을 보자니 현실의 정치판과 무엇이

다르랴 싶어 절로 한숨이 나왔다.

그 어느때 보다 유능한 인재가 많았음에도 서로가 물어 뜯는 바람에 가장 많이 희생이 된 시기이기도

했으니 말이다. 그런점에서 야인 이었던 ‘송익필’이 예순 여섯이라는 나이까지 살 수 있었다는 것도

참 대단한 일이었겠다. 변변한 벼슬자리에 나가 보지도 못한 처지이면서도 당대에 내노라 하는 학자와

정치가에게 존경을 받을 만큼 출중했던 그이지만 '모난 돌이 정 맞는다’는 속담처럼 왕과 동인의

영수인 이산해를 상대로 견주기를 할만큼 맹랑한 그가 비록 타향에서 비루한 삶을 접기는 하였으나 과연

'조선의 실력자’였음은 부정하기 힘들다.

어찌 이런 인물이 그동안 우리 역사의 전면에 떠오르지 않았단 말인가.

 


‘주상 난 이미 당신을 이기고 있는지 모릅니다. 당신은 당신을 위해 목숨을 초개같이 버릴 수 있는

대신 3명이라도 곁에 두고 있습니까?’ -302p

 


진실로 자신을 사랑하고 존경하는 신하를 두지 못한 선조는 어둠속에 숨어 지냈던 ‘송익필’보다

더 불행한 인물인지도 모른다.

결국 왕을 조롱했던 ‘송익필’도 쓸쓸히 세상을 떠나기는 마찬가지이고 보면 인생사가 이렇듯 허무한데

고력은 왜 이리 깊은가를 한참 생각하게 된다.

과연 저승에서 만난 선조와 송익필은 어떤 대화를 나누었을지가 궁금해진다.

 

크기변환_사진 1307.jpg

 

100년도 못살고 떠날 세상에서 서로가 너무 많은 상처로 허송을 한 것은 아닐지 후회스럽지는 않았을지.

그의 사상을 이어 후에 서인의 영수가 될 제자를 남긴 것이 유일한 보람이었을지 모르나 그들 역시 당쟁의

한복판에서 피를 물처럼 보아야 했던 인물들이고 보면 어떤 길이 제대로 된 삶인지를 다시 한번 묻게 된다.

‘송익필’이 선대의 업으로 하여 어둠에 숨어 살아야 했던 운명이 아니었다면 조선의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지..가보지 못한 길이 궁금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