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육의 기술 - 내 아이를 망치지 않는 놀라운 육아법
앨리슨 셰이퍼 지음, 김이숙 옮김 / 문예출판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자식을 낳아 길러 보지 못한 사람은 어른이 될 수 없다'는 말이 있다.
또 '자식은 전생에 빚쟁이다'라는 말도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 결혼하여 보석같은 자식을 낳고
평생 행복할 것이라는 믿음은 아이를 키우면서 슬슬 흔들리기 시작한다.
물론 생각대로 마음먹은대로 훌륭하게 키우고 큰 보람을 얻는 부모들도 없다는 뜻은 아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들은 내몸을 빌어 이세상에 나온 내자식이 생각대로 자라주지 않을 때
깊은 절망감에 혹시 내가 부모자격이 없는 것이 아닐까 하는 고민에 빠지게 된다.
나역시도 양육의 문제만큼은 어디 학교라도 있으면 공부라도 해서 해결해 볼수도 있을텐데
하는 아쉬움과 무능의 자격지심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마침 심리치료사이며 유명한 육아전문가인 저자의 '지금도 절대 늦지 않았다'라는 말에 용기를
얻어 학점을 따는 심정으로 읽기 시작했다.

흔히 악동이라고 표현되는 막무가내의 아이들에게 매나 협박을 동원하지 않고도 우아하게
통솔할 수 있는 비책들이 꼼꼼하게 소개되고 있다. 가장 중요한 4C(Connected, Capable, Counted,
Courageous)를 경험하게 하라는 조언은 얼핏 힘들어보이지만 이미 타고난 것이기 때문에 사소한 것에
화를 내지만 않는다면 결핍된 영양소로 인해 병이 생기는 것처럼 생존전략을 위해 빈곳을 채우는 나쁜
욕구들이 자리를 잡지 못할 것이다.
무심코 해주었던 '무계획적인 보상'이 일관적이지 못하면, 아무리 고집스럽게 열심히 착한행동을 해도
보상이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되면 다시는 그런 행동을 하지 않는다는 말에는 가슴이 뜨끔했다.
'많이 들어주고 적게 말하기'--물론 내가 더 많이 말하고 있다.
''아이와 번갈아 가며 큰소리로 책을 읽어준다'--책을 읽지 않는다고 야단만 쳤던 내모습이 떠오른다.
''아이의 의견을 물어본다'--어린아이의 의견이 그렇지 뭐. 내의견대로 밀고 나가야지.
아이들과 유대를 맺는 여러가지 방법등중 내가 제대로 해주는 것이 몇가지가 안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순종을 강요하고 '지배'하려는 마음이 너무도 강해서 아이들이 '하도록 만들 수'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지
'아이들이 원하도록 만들어야'한다는 생각을 미처 하지 못했었다.
어찌보면 간단할수도 있는 원칙들을 지키지 못하고 살았다는 후회가 밀려든다.
'말을 무기로 사용하지 않기'에서 보면 비난, 비판, 모욕주기, 잔소리, 설교 늘어놓기, 명령하기, 심판하기등
어느 한가지 해당하지 않는 것이 없는 것을 보면 확실히 F투성이의 성적표를 받아든 낙제생의 심정이 된다.
하지만 정말 나만 이렇게 아이들을 키운 것일까? 아예 좋은 말을 하지 않을 거라면 아무 말도 하지 말라니..
명령대신 부탁을 하라거나 강제로 시킬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이미 해보았거나 손을 든 상황이지만
벌을 준다거나 소유물 압수하기같은 상처를 주는 행동을 그만하라는 말에는 한숨이 절로 나온다.
'자기의 생각을 분명이 전달하는 방법을 가르쳐라'는 아이의 말을 적극적으로 귀 기울여 들어주자는 전제가
있어야만 가능할 것이다. '섣불리 판단하지 말라'는 내주장이 강했던 내가 반성해야 할 부분이라는 생각이다.
아직 여물지 못한 자식의 의견이라 무시해 치운적이 많았던 것 같아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한다.
'온몸으로 사랑을 보여주라' 생각보다 쉬운 방법이 꽤 있었다.
'아이가 흥미로워하는 잡지 사진이나 기사를 오려둔다'--흠 2PM의 브로마이드를 구해줘야겠군.
'당신이 뭔가를 잘못했을 때는 사과한다'--쉽지 않지만 해보도록 해야겠다.
이렇듯 이책은 양육 메뉴얼로서 세세한 조언까지 담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의 인격체로서
존중하고 강요하지 말고 아이의 개성에 맞게 대처하는 처치법을 알려주고 있다.
'늦었다고 생각될 때가 가장 빠른 것이다'라는 말이 틀리지 않는 말이 되기를 바라면서 아이를 변화시키지
전에 내자신이 변화해야 함을 절실히 느끼게 했던 양육 낙제생의 필수교본임을 알리고 싶다. 더 늦기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