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붓다
한승원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을에 있는 큰바위 얼굴을 보고 자란 소년이 결국 큰바위얼굴의 주인공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생각난다.

억불산 위의 억불바위는 외로운 소년 상호에게는 '큰바위 얼굴'인 셈이다.

 



 

한국인 참전용사와 베트남 처녀사이에서 태어난 엄마와 업동이 아버지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아 상호는

길러준 부모의 재산을 거덜내고 자식을 버리고 떠나버린 부모에 대한 원망과 그리움 그리고 자신의 뿌리에

대한 정체성과 왕따가 되어 소외당하는 고통에 시달리는 외로운 소년이다.

전직 장학사에 교장까지 지낸 할아버지는 사랑하는 아내를 떠나보내고 죽은사람에게 염을 해주며 상호를

보살피지만 천한 '염장이'로 주변사람들의 수군거림에 시달린다.

고통에 시달리는 상호에게도 오직 '네 일은 혼자서 해야한다 어느 누구도 도와줄 수가 없다.'며 세찬 현실과

싸워 이기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의 마음은 외로운 손주가 어느 날 날개를 달고 자유롭게 세상을 날아 오르기를

간절하게 기원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영혼이 떠나버린 시체를 씻기고 새옷을 입히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없는 숭고한 작업이다.

이승의 더께를 벗고 부처가 있는 세계로 들어가기를 기원하는 안교장의 마음이 바로 부처의 마음이 아닐까.

 

할아버지와 부모님의 이야기를 소설로 쓰겠다고 다짐한 상호는 '며느리바위'라고도 불리우는 억불바위를

탐색할 목표를 세우고 체력단련을 시작한다. 한쪽발을 저는 장애가 있지만 상호가 그 목표를 저버릴 수 없었던

것은 자신의 장애와 현실과 지나온 상처를 뛰어넘어 산정상에 서기위한 과제였기 때문이리라.

 

세월만큼 무자비한 것이 있을까. 한때는 뭇남자들의 무릎을 꿇리고 여신처럼 군림했던 기생출신의 송미녀를

보면서 노리개로 살아온 한여자의 안타까운 운명과 인생의 덧없음이 가슴을 때린다.

누구나 영원히 푸르를것 같은 시절을 지나 젊음이 빠져나가고 시들은 육체만 남는 시간이 온다.

더구나 주위의 도움없이는 살아 갈 수 없는 노후가 된다면 얼마나 초라한 마무리가 될 것인가 말이다.

이런 송미녀에게 그래도 아름다웠노라고 손을 잡아주는 안교장의 따뜻한 인품에 고개가 절로 숙여지고 만다.

어떤 절망에서도 사랑만이 구원이었음을 그녀의 마지막길에서 다시한번 확인을 하게 된다.

 



 

노작가의 편안한 필체에 긴세월을 헤쳐나온 지혜와 자애로움이 그대로 느껴진다.

억불바위밑에 펼쳐져 있는 것은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사바세계가 아니겠는가.

마을을 굽어보고 있는 억불의 존재는 바로 우리 마음속에 있는 것 같다.

마음속에 거울을 보듯 자신을 비쳐보고 언제나 날이 선 칼날을 벼리는 숫돌을 담아 평생 부처처럼

살아가기를 바라는 작가의 따뜻한 가르침이 부처님의 자비로운 미소처럼 내가슴을 적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