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연중행사와 관습 120가지 이야기 - 일본 황실 도서관의 수석 연구관에게 직접 듣는
이이쿠라 하루타케 지음, 허인순.이한정.박성태 옮김 / 어문학사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에는 팔백만의 신이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모시는 신이 많은 모양이다.
하기는 일본을 여행할때 마을마다 가장 많이 보았던 것이 이런 신을 모신 신사(神祀)였다.
한때는 가전시장을 재패하고 온갖 IT산업의 메카라고 여겨졌던 일본에서 이렇게 미신처럼
여겨지는 풍습이 많다는 것은 놀랍기만 하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일본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아 비슷한 풍습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세월의 흐름은 어쩔 수 없는지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지금은
사라졌거나 편리해진 풍속이 많아 진듯하다.
특히 메이지후에 양력을 쓰면서 이런 현상은 더 두드러지고 바쁜 현대생활에서 일일이
음력으로 환산하는 일이나 풍속을 지키는 일들이 어려워진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상당부분은 우리와 비슷한 문화가 존속되고 있어서 중국에서 바로 전해진 풍속도
있겠지만 우리나라를 매개로 하여 전해진 풍속들도 꽤 많은 듯하다.
이중에서 가장 부러운 것은 다양한 축제(마쓰리)이다.
고장마다 독특한 마쓰리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는데다가 규모나 볼거리가 상당하여 지금은 
세계적인 관광상품으로 돋보이는 풍습이다.
지금 우리사회에 남아있는 풍습중에는 역(逆)으로 일제 강점기때 넘어온 일본문화의
잔재인것들도 꽤있다.



인사성 밝고 체면을 중시하는 일본에서는 일정한 날이 되면 감사의 봉투를 돌린다거나
지금은 많이 없어졌지만 결혼식후 답례품을 주는 것등은 아마 일본문화의 잔재가 아닐까.
섣달그믐날 잠을 자지 않는다거나 결혼식때 신랑신부가 삼배를 마시는 것등을 우리와
같은 것 같고 속담도 우리와 닮은 것이 꽤 있다.
'부처님에게 설법, 공자에게 오도'라는 것은 '공자앞에서 문자' 라든가
'딸이 셋이면 집안이 망한다'는 '딸 셋 시집보내고 나면 기둥뿌리가 흔들린다'처럼
역시 일본도 과도한 혼수때문에 옛부터 부담이 되었던가 보다.
'쌀겨 세홉만 있으면 데릴사위로 가지마라'는 '겉보리 서말이면 처가살이 하지 안한다'와
똑같은 의미의 속담이다. 일정기간 처가살이를 한후 시댁으로 들어갔던 예전의 결혼풍습도
우리와 닮은점이기도 하다. 
죽림칠현의 고사에서 비롯되었다는 칠복신의 그림을 보니 중국의 오래된 그림에서  본것과
같이 친근하고 너무 귀엽다.



신에게 바치는 제물하나에도 상대방에게 보내는 선물의 매듭에도 어찌나 정성을
들였는지 일본인의 섬세함에 놀라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
불교를 일본의 토속신앙과 접목한 독특한 종교로 승화시킨점도 특이할 만 하다.
가깝고도 먼 이웃 일본의 풍습을 들여다 보고 있으니 그래도 우리나라보다는
예전의 풍속을 더 많이 간직하고 즐기는 것 같아서 부러운 마음이 들기도 한다.
번거롭고 기억하기도 힘든 풍습이 많지만 우리도 먼 옛날의 시간들을 추억하면서
부여의 '영고'나 고구려의 '동맹'같은 행사를 축제로 승화시켜보면 어떨까.
고을의 으슥한 곳에 버티고 선 신사의 낯설음은 싫지만 팔백만의 신이 일본 특유의
스릴러소설의 원동력이 된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