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배 경제학 - 중산층이 몰락하는 M형 시대! 20대 80 사회가 도래했다
장징푸 지음, 송철규 옮김 / 예문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당신의 수입은 얼마나 되십니까? 아마 충분하다고 대답할 사람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항상 수입에 비례한 지출이 있기마련이고 인간의 욕망이란 끝이 없으므로 남는다고 생각하는

여유보다 늘 모자라다는 아쉬움이 더 크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당신은 부자라고 생각하는지..혹은 중산층? 물론 빈곤층이 아니기를 바라지만

일본의 트렌드 전략 전문가인 오마에 겐이치는 몇 년전 중산층의 소멸 현상을 지적하며

20년동안 관찰한 결과를 'M형 사회'하는 이론으로 발표해 일본 열도를 뒤흔들었다.

사실 일본뿐아니라 한국과 이책의 저자가 성장한 대만에 이르는 동아시아 국가들

대부분이 이미 마치 M자 모형으로 부자와 빈곤층의 양극화가 뚜렷하고 중산층이 몰락한

'M형 사회'에 진입했다고 여겨진다.

실제로 경제국가순위 상위에 진입한 우리나라역시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중산층이라고 생각되었던 많은 사람들이 신빈곤층으로 전락한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

 

전후 재건의 시대와 경제개발 5개년 계획들의 연이은 성공으로 성큼 경제국으로 도약한

우리는 이제 '보릿고개'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점차 사라지고 최근 불황의 여파로 위축되긴

했지만 분명 수십년전에 비하면 살기 좋아진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저자가 우려한 것은 밥먹고 살만한 정도의 경제수준이 아닌 높아진 수준에 맞게

삶의 질도한 높아져야 하고 그에 따르는 단단한 경제력의 성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책은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의 사이의 소득차가 거의 20배 이르는 시대에 사는 우리에게 던지는

'사회가 우리를 구해주길 기다리기 전에, 우리 스스로가 이 시대의 생존법을 찾자'는 메세지이다.

당신은 몇살이 은퇴를 할 예정인가? 노후는 준비되고 있는가?

당신 주변에 귀인은 몇명이나 있는가?

특히 사교육에 찌들은 우리나라 부모들의 경우라면 자신들을 위한 노후준비에 대비하고 있다고

대답할 사람들이 과연 몇이나 될것인가.

유유상종이라는 속담처럼 과연 내 주변에는 나를 성공으로 이끌수 있는 인물들이 몇이나 될것인가.

35세 이전에 이런준비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말에 제법 열심히 살아왔다고 생각한 나역시 아차하는

생각이 들었다. '부지런하지 말라' '돈이 돈을 버는 구조가 되려면 남을 잘 부릴줄 알아야 한다'

성실하게 열심히 살아온 우리세대들에겐 정신이 번쩍드는 회초리가 아닐 수 없다.

단순히 부지런하게 일만 하지 말고 지혜를 발휘하여 또다른 수입나무를 키우라는 것이다.

저자는 어느 순간 안락한 고연봉의 월급생활을 접고 5년후, 10년후를 준비하는 지혜를 발휘했다.

우리는 자칫 지금 철밥통에 안심하고 이 안락함이 영원할 것이라는 착각에 빠져있는 것은 아닐까?

그렇다고 당장 안정적인 월급생활을 청산하고 창업에 나서라는 것이 절대 아니다.

 



 

그림처럼 혹시 눈의 착시현상처럼 잘못 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곰곰히 돌아봐야 할 일이다.

'가난의 뿌리는 끊기 어렵고 부의 씨앗은 자리기 어렵다.'

혹시 나도 '악성 가난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은 아닐지...

문득 '우리는 부모에게 효도해야 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을 받지 못하는 1세대'라는

저자의 말이 가슴아프게 다가온다.  분명 나도 그중의 하나임이 분명하므로..

 

'만약 당신이 현재 40세라면 1,839만 분이 남은 것이다.' -32p

너무 늦은 자각이 뼈아프게 느껴지는 한마디이다. 10년만 빠르게 이 책을 만났더라면 지금의 내모습과

위치는 달라지지 않았을까. 내 남은 시간만이라도 수렁에서 건져내려면 맨발로 뛰어도 모자랄 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