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살의 흔적 - 죽음과 의혹에 현직 법의학자들의 현장 리포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법의관들.강신몽 지음 / 시공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체는 결코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이미 식어버린 사체는 아무말도 할 수 없다. 아니 분명 뭔가를 말하고 있을터인데

읽어낼 수가 없다. 더구나 편안한 주검이 아닐 경우에는 죽음의 진실을 알아내는 일들이

쉽지가 않다. 바로 이런 비밀의 열쇠를 푸는 사람들이 있다. 범죄와 죽음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생생한 사건들을 파헤친 법의학 논픽션!

 

밤을 새워 보느라 눈이 궹할 정도로 열광하고 있는 미드의 CSI나 NCSI를 보다보면 마치

내가 수사관이라도 된양 범죄현장을 눈여겨보면서 열중하게 된다.

 



 

우리나라와 사뭇 다른 점이 있다면 살인사건현장에는 반드시 법의학자가 먼저 투입되어

간의 온도를 측정하여 사망시간을 추정하고 대체적인 검안을 마친후에야 수사관들이 투입되는

장면이었다. 범죄현장을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쳬가 냉동고로 옮겨지기전의 자연상태가

무척이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과연 우리나라도 이런 시스템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궁금하던차에 현실은 그렇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는 법의학자들의 목소리가 그대로 전해진다.

 



 

우발적이든 계획된 살인이든 저지른 사람은 감추고 싶을 것이고 남은 사람들은 비밀을

찾아내야하는 과제가 남는다.  피가 흥건하고 훼손된 현장뿐만 아니라 사체를 부검하고

죽음의 원인을 밝혀내는 일들은 생각만으로도 소름이 끼치고 끔찍하기만 하다.

누구보다 죽음과 가까운 자리에서 일하는 그들의 이야기를 듣노라니 그동안 드라마에서

보았던 깔끔하고 과학적인 환경도 아닐뿐더러 체계적으로 훈련된 인원들도 많지 않은듯하다.

하기는 이런 고단한 현장을 좋아할 만한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언론보도를 통해 알고 있었던 사건의 배경이며 죽음의 진실을 알게되니 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고속도로에서 위급상황을 119에 알리고 숨져간 두남자의 죽음은 참으로 궁금했던 차였다.

의학자라는 지식과 지위를 이용해 자신의 몸을 너무 가벼이 여겼던 사람들의 최후를 보니 입맛이

썼다. 쾌락을 쫓기위해 마약을 하거나 목을 조르다가 어이없이 숨져간 사람들도 마찬가지였다.

 



 

며칠전에도 사랑받던 연예인의 죽음을 접하면서 살기를 간절히 원했지만 억울하게

숨져간 대구지하철사고의 영혼들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물로 씻어내렸다는 그 현장에는 사실 주검들의 흔적이 남아있었음에도..

이제 일반사람들도 ’루미놀’이 무엇인지 아는 세상이 되었다.

범죄도 법의학도 함께 진화하면서 혹시라도 좀 더 지능적인 범죄를 꿈꾸는 사람들이

있다면 주검에게 말을 거는 사람들이 있음을 기억하기 바란다.

톱스타 최진실을 사건당일 야간에 부검하면서 모든 사물이 휴식을 취하는 시간만큼은

영혼의 안식을 방해하고 싶지 않았다는 그의 고뇌가 가슴아프게 느껴졌다.

냉정하고 공정한 법의학자 이전에 그들도 가슴 따뜻한 인간임은 어쩔 수 없기 때문일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