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지구를 돌려라
칼럼 매캔 지음, 박찬원 옮김 / 뿔(웅진)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그래도 지구는 돈다'라고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말했다고 했던가.

911테러로 뉴욕의 쌍동이 빌딩 무역센터가 사라진지 10여년이 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사라지고 전세계적인 충격과 아픔을 느낀 사건이었지만

지구는 늘 그래왔듯이 무심하게 커다한 몸뚱이를 돌리고..그렇게 시간들은 지나왔다.

어느날 세계무역센터를 줄로 연결하고 지팡이하나를 의지한 채 줄을 건너는 남자가 있었다.

 



 

이 소설에서 유일하게 실제한 사건이기도 한 이 광경을 보고 이 사건의 주인공인

필리프 프리의 이야기가 전개될 것으로 생각했던 나는 엉뚱하게 그사건이 일어나던 시간에

뉴욕에 있었던 사람들의 이야기가 씨줄과 날줄처럼 짜여져 전개되리라는 것을 전혀 몰랐었다.

이사건을 맡았던 판사가족과 노예자손인 한 여자의 아픔이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전해지고,

멀리 아일랜드에서 건너온 순결한 성직자의 뉴욕정착기와 그의 가족들의 이야기에..

뉴욕의 뒷골목에서 처절하게 살아가는 창녀들의 이야기가 마치 퍼즐조각을 맞추는 것 같다.

평범한 우리는 용감하다 못해 정신나간 한사람의 퍼포먼스를 보면서 오로지 그사건에만 집중했을 것이다.

그런면에서 저자는 작가로서의 탁월한 작품세계를 펼쳐보여주고 있다.

단지 그장면을 목격했던 수많은 사람들의 에피소드가 아닌 그때 뉴욕을 살았던 사람들의 어둡고 상처받은

내밀한 이야기들을 떠올렸다는 것 자체가 바로 그런한 증거가 아닌가 싶다.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도 더듬어 올라가면 지구의 어느곳에서 시작된 생명의 역사가 있었고

운명이었든 선택이었든 그시간 그곳을 스쳤던 바람을 함께했었다.

저마다 한때는 행복했었고 한때는 불행했었던 흔적들을 감춘채..

사실 서로가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들도 모른 채 말이다.

이세상 만물이 모두 그러하지 않은가. 지금 이순간 스치는 바람한점, 비한줄기도 내삶의 한흔적이

될수 있는것...하물며 인간의 삶속에 같은 시간을 살고 있는 인연이라는 것은 서로에게 큰 흔적으로 남을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작품이다.

무심코 지나간 저 사람이 사실 내 운명의 한조각일 수도 있음을 다시한번 되돌아 보게 된다.

비록 시작은 미약하였으나...나중은 창대함을...창녀의 손녀였지만 지나간 시간을 더듬어 아픔의 장소로

되돌아온 재슬린을 통해 보여주었다. 조상의 시간이 어떠했든 지금의 시간은 내가 만들어 나갈수 있음을,

그래서 희망은 항상 인간을 더 나은곳으로 이끌어준다는..믿음을..보여주었다.

'노호하는 바다를 향하여..나는 가노라'

아마 이 메시지가 저자가 우리에게 보내는 희망일것이다.

아무리 아파도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았던 시간들도..지구가 무심히 돌듯..그렇게 흘러감을..그래서 우리는

멈추지 않고 앞으로 나가야 함을 전하고 싶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