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 할머니 꽃보다 아름다운 우리
오채 지음, 김유대 그림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북에서 피난오신 부모님은 고향에 할아버지 할머니를 두고 오실 수 밖에 없었다.

명절이 되어도 우리집은 신날일이 없었다. 친척조차 거의 없는 쓸쓸한 명절은

오히려 아버지의 외로움만 짙어져 어린 마음에도 할머니가 계셨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했었다.

바쁘고 무서운 부모님보다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때문이 아니었을까.

자식보다 손주가 예쁘다는 말이 있는 것을 보면 분명 할머니가 계셨다면 우리 형제들은 귀여움을

많이 받고 자랐을것이다. 마치 오메할머니의 손녀딸 은지처럼 말이다.

 



 

어른들의 삶은 늘 고단하다. 가뜩이나 불황이 계속되는 바람에 먹고 사는 일이 힘에 겨워

부모를 보살피고 자식을 기르는 일이 맘처럼 되지 않는다.

어렵게 길러주신 부모님께 효도도 하고 싶고 귀여운 아이들에게도 맘껏 베풀어주고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공장을 운영하는 자식과 깨물어도 아프지 않을것 같은 손주가 있는 서울에 온 오메할머니는

자식들이 사는 도시를 주욱 둘러보다가 마지막에 은지가 살고 있는 집에 오신 것이다.

하지만 은지엄마는 시어머니의 등장이 탐탁지 않다. 살기도 어려운데 어머님까지 신경써서

보살펴야 할 일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얼마전 중풍으로 쓰러졌던 오메할머니는 오지랖도 넓기만 하다.

시장에서 억척스럽게 돈을 모은 반지할머니와 소식이 끊긴 아들대신 손주를 기르면서 빡스를

모으며 살아가고 있는 빡스할머니의 일에도 자기일처럼 팔을 걷어부치고 도움을 주려한다.

시골땅을 처분한 돈은 마지막까지 자식에게 줄수가 없다. 당신 삶의 증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수금이 안되고 삶이 고달픈 자식내외에게는 그런 할머니의 행동이 욕심으로만 보일 뿐이다.

은지의 생일날 미역국을 끓여주시고 어릴적 가지고 놀던 닷짜꾸리도 만들어 주시는 할머니를

가난한 탓에 학교도 갈수 없었지만 늘그막에 한글도 배울만큼 멋있는 할머니이시다.

 



 

사람나이로 치면 환갑인 개 '봉지'는 할머니와 절친이 된다.

이제 서로 시간이 많지 않음을 알기 때문이었을까.

인정많고 도리가 밝은 오메할머니는 반지할머니에게도 빡스할머니에게도

'봉지'와 은지에게도 소중한 사람이었음을 알게된다.

하지만...이제 시간이 많지 않다.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언젠가 돈을 벌어 효도하겠다는 맘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지...오메할머니를

보면서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다.

주어도 주어도 더 주고 싶은것이 부모의 마음이라더니...오메할머니...

학교에 가지 못했어도 많이 가진것이 없어도 인생이 얼마나 찬란하게 아름다운것인지

깨닫게 해준 감동적인 책이다. 지금 저 바깓 공원에 나서면 오메 할머니가 계실것만 같다.

 

'산다는 건 긴 시간이 아니여. 후회없이 거시기 하게 살랑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