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미경의 아트 스피치 - 대한민국 말하기 교과서
김미경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말로서 말 많으니 말 말을까 하노라'거나 '말 한마디에 천냥빚을 갚는다'라는 말이 있다.
많은 말속에 사는 우리는 정작 '말을 잘하는 법'을 잘 모르고 살고있다.
더구나 많은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하거나 즐거움을 주는 일들은 겁부터 나기 일쑤이다.
나역시 많은 사람들 앞에서 교육을 했던 사람임에도 그동안 얼마나 많이 부족했던가를 되돌아보게
해준 책이다. 진작 알았더라면 좀더 유능하고 행복한 강사가 되었을텐데..정말 아쉬움이 크기만 하다.
아트 스피치의 달인 김미경을 TV나 실제 강연회를 통해 몇번 접한적이 있었지만
그녀가 우리들의 가슴에 감동을 주고 즐거움을 주고 고개를 끄덕이게 했던 괜찮은 말솜씨들이
천부적이기만 하거나 애드립이 뛰어난 재능이 있어서만이 아니라는걸 알게되었다.
그녀와 접하는 모든 사물, 인물, 사건들이 교과서이고 멘토이며 거울이라는것을..
물론 우리도 그녀가 보고 느끼는 일상과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녀는 보지만 우리는 보지 못하고 느끼지 못하고 놓치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
새삼 알게되는 것이다.
빵집을 하는 사람은 길을 가다가 빵집만 보이고 디자인을 전공하는 사람은 지나가는 사람들의 옷이며
장신구들이 유난히 더 눈에 띈다고 한다. 하지만 그녀가 우리에게 전해주는 메세지는 희로애락과
생로병사와 삼라만상에 이르는 삶의 모든것들이기에 같이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의 말마따나
살아가는 모든 것이 공부가 되어 이제 편안한 즐거움이 없어졌다고 하는 투덜거림이 안쓰럽기까지하다.
생각해보라. 영화를 보아도 친구와 밥을 먹고 수다를 떨어도 메모장을 준비하고 하나라도 케치하고 얻기
위해 눈과 귀와 마음을 기울여야 하는 일상이 되어버린다면...그것 역시 일종의 직업병이 아니겠는가.
그녀가 전에 썼던 가족들의 이야기에서 자신의 DNA에는 긍정의 에너지가 있다고 했던 말들이
새삼 다가온다. 그녀의 어머니 홍순희여사의 '김미경 반장만들기'출동이나 '관광여행과 나들이옷'
이벤트와 피아노강사를 때려치우고 새로운 길을 선택해야하는 기로에 선 딸에게
'때려치우고 너 하고 싶은 일을 해라'라고 외쳤던 그녀의 아버지를 보면 그녀는 긍정의 에너지뿐만
아니라 용감하고 진취적일뿐만아니라 영민함까지도 고스란히 유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홍순희여사가 조금만 더 젊었더라면 김미경보다 더 괜찮은 아트스피치 강사가 되었을 것이다.
그녀가 지금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시행착오와 사례발굴과 노력의 여정을 보니 절로 머리가 숙여진다.
구수한 충청도 사투리로 때로 경계심을 녹이고 이웃집언니처럼...친구처럼 내맘에 철썩 달라붙었던
친근감조차도 타고난 성정에 노력이 더한 결과라니 그녀의 완벽함이 놀라울뿐이다.
말하기 교과서라는 부제가 부끄럽지 않을만큼 이책은 군더더기 없으면서 따뜻하고 핵심은 제대로 전달하는
말의 모든것을 자세하게 가르쳐주고 있다. '말도 계획을 세워서 할것' '진심을 담아 상대방의 마음을 겨눌것'
많은 사람들 앞에서뿐만아니라 모든사람과 소통하는 '말'을 얼마나 다듬어서 잘할수 있는지..
우리도 한번 점검해보자. 과연 우리는 말을 잘하고 살고 있는가?
그녀가 전공인 음악을 작곡하듯 세심하게 그리고 있는 말의 오선지를 따라가다보면 분명 '말'로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이는 제대로 된 '말'을 연주할수 있을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