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열도 - 영원한 이방인 사백 년의 기록
김충식 지음 / 효형출판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

일본에 살아본 지인들의 말을 빌면 남에계 폐를 끼치지 않고 친절하면서도 깊은 속은

주지 않는다는 일본사람들!

하기는 미국에서 공부할 때 만난 일본친구들도 화를 내거나 부탁을 해오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파티를 할때도 빈손으로 오는 법이 없이 맥주며 초밥을 꼭 챙겨들고 오거나 더치페이로 부담을

주지 않았었다. 하지만 정절만큼은 우리와 달라 꺼리낌없이 다른 민족과 잘만 섞이더구만.

열도에서 한반도를 발견한 김달수의 추적처럼 어찌보면 그들의 피의 상당량은 우리의 피와 같았을것을..

왜 저들은 반도의 나라 조선을 그토록 싫어하는 것일까...

단순히 영토의 확장을 위한 침략뿐아니라 절절히 싫어함을 고스란히 느낄수 있기에, 어쩌면 저들의 피에

녹아있는 반도의 흔적을 인정하기 싫어 더욱 악랄해 졌던 것일까.

허무맹랑한 역사의 변질로나마 열등한 문화를 숨기고싶었던 이유로만 설명하자면 그들의 침략과 폭력으로

숨져간 우리 조상들의 한(恨)이 너무 깊다.

 

문자도 가지지 못하고 학문도 비루했던 과거의 일본역사에서 한반도의 문화는 거대일본문화의 토대가

되었음을 절대로 부인할 수 없는 일이건만 고마워 하기는 커녕 원수로 되갚는 그들의 속성이 저자가 말한

'시마구니 곤조-섬나라근성'이 아닌가 싶다. 하긴 영국사람들도 일면 일본사람들과 비슷한 속성이 있다고

하니..과이 틀린말도 아닐것이다. 문제는 유독 우리에게만 더욱 유별난 이유를 알수 없다는 것이다.

 

억지로 끌려간 도공들의 서러운 이야기는 지금도 가슴이 먹먹해온다. 단군을 모시고 고향을 그리워하며

눈물로 살았을 그들의 그리움이 얼마나 한이 되었겠는가. 끌려가는 와중에도 조선의 흙과 유약을 챙겼다니

참으로 프로다운 정신이 있던 사람들이었다. 어쩌면 그들이 일본에 끌려가는 바람에 조선의 도자기 문화가

세계에 더 각광을 받을 수 있었을것이다. 쇄국의 나라,조선도공들은 우물안개구리처럼 재능이 꺼져갔지만

비루했지만 독특한 문화를 가진 일본때문에 오히려 더 발전할수 있었다는건 대단한 아이러니이기도 하다.

 

스스로 곡기를 마다하고 고향을 그리다가 숨져간 최익현이나 야만에 땅에 인간의 도리를 가르친 이진영의

삶도 가슴아프지만 끝내 조선의 핏줄임을 숨기고 살아야 했던 김윤규(다치하라 세이슈)나 역도산의 운명을

보면 차별의 상처가 그들을 얼마나 비겁하고 고독한 삶으로 이끌었는지를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그들의 땅에 꿈틀거리는 반도의 흔적도 그러하거니와 지금의 경제부국의 밑받침에 역시 우리가 있었건만

가혹한 억압과 차별로 인해 이방인으로 고통받았던 우리 조상들의 서러움이 녹아있어 '슬픈 열도'라는

주홍글씨를 새기고만 섬나라 그들!

인정하고 싶지 않아도 어차피 피를 나누었을 그들이 수없이 저질러온 만행속에 피눈물로 숨져간 원혼들의

발자취를 취재한 저자의 글들은 신문기자로서의 냉철함과 확고한 역사의식..그리고 인간적인 따뜻함까지

고루 녹아있다.

미처 알지 못했던 희생자들의 삶을 알게 해주고 무관심을 일깨워 준 고마운 책이 되었다.

어디에 묻혔든 이제는 그렇게 그리워했을 고향으로 되돌아왔으리라고 믿고 싶은 조선의 원혼들에게

두손을 모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