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에서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 - 바쁜 일상에 치여 놓치고 있었던, 그러나 참으로 소중한 것들 46
정희재 지음 / 걷는나무 / 2010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참 가슴이 따뜻해지는 책이다.

유년기의 몇년을 제외하고 줄곧 도시에서 살고 있다는 저자는 불우한 기억들속에서도

따뜻한 가슴을 지닌 사람으로 잘 성장한 사람이다.

그녀의 삶을 붙들어 주었던 많은 친구들과 지인들은 사실 그녀의 인간됨과 품성이

만들어준 산물인 셈이다.

지금껏 택배로 바리바리 사랑을 나르고 계신 시골의 엄마도 사실 선배의 엄마임에도

막내딸로 여기시고 챙기시는 모습에 자꾸 눈물이 나왔다.

글을 쓰는 사람들은 우리가 보지못하는 저 너머의 깊음까지 짚어낼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인지..그녀는 내밀한 인간의 심연까지..그리고 도시의 깊음까지도 읽어내고 있다.

그녀가 바라본 사람들은 모두 따뜻하고 아름답고 심오하다.

그건 바로 그녀의 시선이 그러하기 때문이리라.

 

얼핏보면 도시는 삭막하고 잠시 머물다가는 정류장 같기도 한 공허함이 있는 곳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나역시 그 도시안에서 먹고 잠자고 삶을 영위하지만..그러고 보니 나는 도시에서 태어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언젠가는 돌아갈 곳이 따로있는 사람처럼 고독했을까.

그녀역시 그런 고독감으로 배낭을 꾸리고 세상의 도시들을 여행했던 것은 아니었을까.

도시를 고향처럼 느끼고 싶어...타국에서 비웠던 마음들을 돌아와 느끼는 안락함으로 다시 보상받고

싶어 그렇게 자주 비행기에 올랐는지도 모르겠다.

 

콘크리트블럭이 무개성한 아파트보다 아이들이 뛰노는 소리가 들리고 두부장사의 종소리가 들리는

수유리의 골목을 더 사랑하는 도시안의 그녀는 반지하의 냉랭함과 옥탑방의 강렬한 햇살을 피해

그나마 고향이라고 불릴만한 따뜻한 공간을 그리워하고 하고 있는듯하다.

 

'인생이란 어느 한 순간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기다림이며, 가장 나다운 나와 만나는 먼 여정임을

이해해야 했다.' -37p

 

"그동안 어떤 글을 써왔죠?" "앞으로 어떤 글을 쓰고 싶어요?" 라는 질문은

비슷한 단어들의 조합인데도 너무나 다른 에너지를 지녔다고 말했듯이 때로는 말한마디가 그 어떤 위로와

격려보다 큰 힘을 발휘하고 더 나아가 한사람의 미래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참 놀라운 발견이었다.

이책을 추천하신 이해인 수녀님의 시(詩)에서 하신말씀처럼..혹시 내말이 비수가 되어 상대에게 꽂힌것은 아닌지..

말빚이 너무 많아 거두고 싶다던 법정스님의 말씀처럼...쉽게 뱉은 말들이 비수가 되었는지..덕이 되었는지

곱씹어보게 된다.

 

사람이 살지 않은 모하비사막에 설치되어 있다는 공중전화에 나도 문득 전화를 걸고 싶어졌다.

어디에도 털어놓지 못한 내밀한 이야기들을 나도 그곳에 펼쳐놓고 싶기 때문이다.

사막의 모양을 바꿀만큼 거대한 바람이 그 이야기들을 싫어 귀를 귀울여줄 누군가에게 실어다 줄지도

모르겠다는 희망을 담아...적막한 어느 밤....그곳의 전화번호를 꾹꾹 누르게 될 것이다.

 

마음 따뜻한 그녀가 건네는 말한마디에 구멍뚫려 허허로웠던 가슴이 메워지는듯했다.

'그래 잘살아왔어. 애썼다. 애썼어...걱정마...잘될거야'

처음 만난 그녀는 분명 전생에 연인이었거나 친구였을것이다. 내생에 외로운 어떤날 차가와진 내손을

붙들어준 인연이라면 분명 전생의 몇겁의 만남이 있었을 것이므로..

이글을 끝내고 나는 그녀의 다른 작품들을 살펴보겠노라고 다짐했다. 아마 그녀를 닮아 포근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