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조선을 사로잡다 - 일제 강점기 연예인이 된 기생 이야기
신현규 지음 / 어문학사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생이라 하면 술시중을 들거나 노래하고 춤추고 간혹은 잠자리의 상대가 되는
천민계급의 보잘것 없는 존재일 것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진주강에서 일본장수의
목을 끌어안고 낙하한 논개와 일국의 재상마저 희롱했다던 황진이와 같은 기생도
있었다지만 남자들의 노리갯감이라는 생각은 어쩔수 없었다.

일제 강점기의 기생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근대가 시작되고 새로운 문물이 쏟아져 들어오던 그시절의 기생들은 여전히
집안에서 속박당하고 살았던 우리나라 여성들보다 오히려 자유분망하고 적극적인
삶을 즐겼던것이 아닐까 싶다. 술자리에 온 남자들을 통해 세상돌아가는 이야기도
더 많이 알수 있었고 비록 신분은 미천하였지만 문화를 즐기고 자신의 사랑을 스스로
찾고 낭만을 알았던 그녀들의 이야기가 잔잔하게 펼쳐져 있다.

새로운 춤과 노래가 나오고 영화와 연극이 각광받기 시작하던때에 숨죽인 여성들을
제치고 엔터테이너로서의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한 것도 역시 기생들이었다.
비록 손가락질 받는 직업임에도 어쩔 수 없는 '끼'를 가지고 있던 그녀들이 여염집
여자들이 멀리했던 분야에서 마음껏 자신들의 '끼'를 발휘하므로써 억눌린 신분제도에
대한 한을 조금이라도 위안받지 않았을까.

더구나 나라의 독립을 위해 자금을 모으고 학교설립을 위해 헌금을 했다는 일화에서는
아무리 술을 따르는 기생일망정 그녀들도 조선의 국민이고 독립을 향한 마음은 다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심지어 만주와 시베리아 일대에서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을 했던
현계옥과 같은 기생도 있었다니..논개의 충정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노류장화의 신세이지만 참사랑을 찾는 적극적인 모습이 안타깝기도 하다.
제대로 된 집안이라면 미천한 신분의 기생을 며느리로 들이고 싶지는 않을것이다.
실린 사진속에 기생 강명화는 너무나 아름다웠다. 그녀의 러브스토리는 스물세살 꽃다운
나이에 자살로써 막을내리고 지금내가 살고 있는 금호동에 묻혔다니..흔적도 없이 사라진
그녀의 사랑이 못내 가슴아프다. 많은 기생들이 그녀처럼 아름다운 사랑을 꿈꿨지만 평범한
사랑과 결혼은 그녀들에게 꿈일뿐이었다.

CF스타로 모델로 영화배우로 불같이 살았던 그녀들도 조선의 역사와 함께 묻혀버렸다.
가난을 해결해보려고 기생의 길을 걸어야 했던 그녀들의 고단한 삶속에서도 치열하게
자신의 길을 개척하려했던 열정과 나라를 사랑하고 남자를 사랑했던 그녀들의 이야기가
이렇게 세상밖으로 나옴으로써 결코 그녀들의 삶이 비루하지만은 않았다는...어디선가
애절한 수심가의 한대목이 들려오는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