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치는 여자 - 푸른 파도 위에서 부르는 사랑 노래
김상옥 지음 / 창해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하얀기억속의 너'의 작가 김상옥의 글은 거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듯하다.

가슴아프고 애틋한 사랑의 주인공이었던 작가여서 그런지 그의 주변에는 말그대로

소설속의 주인공들이 많은것 같다. 부잣집 고명딸이었던 은서의 가슴아픈 이야기에

아무리 사랑하는 자식이라도 운명만큼은 바꿔주지 못하는 인간의 한계가 느껴진다.

인간의 이기심과 탐욕이 한가정을 짓밟고 운명을 바꾸는 과정이 울분을 느끼게 한다.

머리검은 짐승은 거두지 말라는 말이 그래서 생겨난 말인듯 싶다.

악으로 흥한자 악으로 망한다더니..결국 비참한 최후로 죄값을 대신하지만 다시는

되돌릴수 없는 과거는 폐허처럼 공허할 뿐이다.

자식처럼 키웠던 직원에게 배신당하고 식물인간이 되는 아버지를 끝까지 붙들어

회생시키는 장면에서는 긴병에 효자없다는 말도 무색해진다.

은서가 세상을 좀더 알았더라면 어렵게 회생하신 아버지를 다시 잃지 않았을것이다.

분명 범죄임에도 서둘러 덮어버렸던 공권력의 허술함과 무작정 사람을 믿으려했던

선함이 악(惡)을 극복해내지 못했음을 확인 하는것은 너무나 가슴아프다.



멋의 고장 진도의 풍광과 육자배기 가락이 그대로 전해지는듯한 무대에서 자신의 한(恨)을

둥둥 두드리는 은서의 북소리가 들려온다.

갑작스럽게 닥친 불행의 파도에 휩쓸린 가녀린 여자의 안타까운 몸부림에 작가인 하윤은

동병상련의 아픔을 느끼게 된다. 전생의 인연이 있었을까. 첫만남부터 묘한 이끌림을 느낀

하윤은 윤서의 불행을 감싸주고 사랑을 느끼지만 윤서는 그의 곁을 떠난다.

굳이 그의 곁을 떠날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모르지만 그래서 더욱 애틋함으로 기억되는

추억을 간직하게 된다.

바닷내음이 전해지는듯 아련한 사랑의 이야기가 무뎌진 내가슴속을 살며시 적셔준다.

어디에 있든 이제는 아프지 않기를 바랬던 하윤처럼 나도 윤서와 하윤이 더이상 고통속에

잠겨있지 않기를 소망한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 찬란하게 가슴속에 살아서 어두운 현실에

등불이 되기를 기도하게 되는 그런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어느 하늘아래에서 살고 있을지 모를 윤서가 한(恨이)을 달래고 혼을 부르는 몸짓이 아닌

희망의 북을 두둥 두둥 두드리기를...눈물이 아닌 행복의 소리가 되어 전해지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