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아의 7분 드라마 - 스무 살 김연아, 그 열정과 도전의 기록
김연아 지음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나이답지 않게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세계정상에 우뚝선 김연아가 스무살이라니..정말 믿을 수가 없다.

어린나이부터 세계를 누볐던 경륜이 쌓인탓일까. 야무지다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한 포스가 그대로 느껴진다.

계속되는 부상과 훈련으로 언제 이런 책을 쓸 시간이 있었을까.  얼음위에서 스테이트날을 지치며 그녀가

들어올린 세상은 결코 만만치 않은 댓가가 필요로 했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누리고 있다 못해 하품만

나올것 같은 그런 평범한 생활을 포기하고 훈련과 부상으로 인한 육체적인 고통을 이겨내고 얻은 값진

훈장이다. 내가 스무살 적에는 어떤 모습이었던가. 문득 생각해보니 그녀가 걸어온 그길 어느 한 자락도

밟아보지 못한 철부지 새내기 였던것 같다. 미래에 대한 정확한 비전도 없었던것 같다.

 



 

고집세고 승부욕 강한 소녀의 자존심만으로 과연 지금의 챔피언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을까.

남달리 재능도 특출했었고 좋아하는 스케이팅을 즐길줄 아는 행운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향해 이른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혹독한 훈련을 견디고 자신의 우상이었던 미쉘 콴을 멘토로 삼아 끊임없이

자신을 담금질했던 의지가 그녀를 퀸의 자리로 인도했을것이다.

더 놀라운건 그녀가 이 자리에 오기까지 그녀를 이끌었던 사람들이다. 부모야 물론 자식을 위해 못할것이 없다.

하지만 어린 연아를 위해 뒷바라지 해준 그녀의 엄마와 아직은 보살핌을 받아야 했을 연아의 언니와 아버지.

그녀의 재능을 꽃피워준 브라이언 오서와 데이비드 윌슨까지..그녀의 길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사랑과 헌신과

격려가 있었다. 그런점에서 연아는 행운아 일지도 모르겠다.

넉넉지 않은 살림을 하면서도 자식이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해준 부모님의 안목에도 감사한 마음이다.

어린 연아를 스케이트의 길로 인도하고 포기하고 싶었던 그순간을 같이 이겨내준 부모님이 없었더라면

연이은 불황과 고난에 시름이 깊었던 우리 국민들이 무슨낙으로 이 고비를 넘을수 있었겠는가.

 



 

변변한 링크도 없고 여러가지 부족한 여건속에 화려하게 꽃핀 연아의 성공은 아무도 걷지 않은 눈길을 걷는것과 같다.

첫발자욱이 뒤에 따라올 사람들의 이정표가 되는것처럼 이제 연아는 자신이 걷는 그길이 무척 조심스러울 것이다.

경기때마다 최고기록을 기록하고 자신의 그기록을 또 갈아치우는 신화가 마음의 족쇄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호시탐탐 정상을 노리고 뒤쫓는 사람들에게 주눅들지 않기를..그녀의 바램처럼 아시아에서 두번째로 동계올림픽이

열리고 멋진 링크들도 많이 생기고 더많은 김연아가 우리를 행복하게 해주기를 바래보는건..불가능한 일이 아니라고

믿는다.

 

’훈련을 하다 보면 늘 한계가 온다. 숨이 턱까지 차오르는 순간, 주저 앉아 버리고 싶은 순간....이정도면 됐어, 다음에 하자,

충분해..하는 속삭임이 들린다. 이런 유혹에 문득 포기해 보리고 싶을 때도 있었다. 99도까지 열심히 온도를 올려놓아도

마지막 1도를 넘기지 못하면 영원히 물은 끓지 않는다. 물을 끓이는 건 마지막 1도, 포기하고 싶은 바로 그 1분을 참아내는

것이다.’ -39p

 

99도와 100도의 차이를 이미 알아버린 연아에게 성공은 약속된 선물이다.

곧 있을 올림픽에서도 그녀는 우리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을것이다. 타고난 대담함과 눈물을 시간을 뛰어넘은 의지가

또다시 우리를 행복하게 해줄것이다. 미쉘 콴이 이루지 못한 금메달의 꿈을 이루고 그녀의 바램처럼 여행도 하고

친구들과 떡볶이를 먹으며 수다를 떠는 ’자유’와 ’평범’을 맘껏 누리는 연아가 되었음 한다.

단...올림픽이 끝난후에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